반응형

 영화.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영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스페인, 캐나다, 호주, 이란. 내가 본 영화를 만든 국가를 생각나는 데로 나열한 것이다. 그런데 오늘 여기에 하나의 국가가 추가 되었다. 바로 싱가포르.

 영화 ‘내 곁에 있어줘, Be With Me'는 앞서 언급한 대로 싱가포르 영화다. 처음 접해보는 싱가포르 영화의 특성으로 인한 독특함인지 감독에 기인한 영화 자체의 독특함인지는 단정할 수 없지만 영화는 무척이나 이색적이었다. 세 가지 에피소드로 이루어져있는데다가 영화에서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인 대사를 과감히 포기했다. 거기에 말하고 싶은 걸 직접 드러내는 기계식 타자기. 그 점이 되려 대사를 포기하고서도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해 준다.

 아들에게 음식을 해 주는 것이 유일한 낙인 홀로 된 외로운 아버지, 한 여인을 짝사랑하며 어쩔 줄 몰라하고 밤잠을 설치는 투박한 경비원 그리고 변심한 친구를 먼 발치에서 지켜보며 가슴 아파하는 한 소녀. 영화는 이들의 이야기다. 영화 속 이들에게 하루하루는 힘겨운 나날의 연속일 뿐이고, 이들에게 공통점이라고는 평범하고 서로에게 무관심한 사람들이라는 점 외엔 없다.

 그러다가 이들은 각자 결심을 한다. 남자는 짝사랑하던 여인에게 전해 줄 편지를 쓰고, 소녀는 실연의 아픔을 이기지 못해 세상을 등 질 결심을 하고, 노인은 외로움에 대항한 미지의 존재를 위해서. 이렇게 그들은 이어지고 비극으로 혹은 서로의 희망이 서로에게 된다.

 나란히 이어지는 노인, 남자, 그리고 소녀의 이야기. 거기에 덧붙여진 테레사 첸의 이야기를 보탰다. 영화 초반, 이들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그런 평범하고 서로에게 무관심한 사람들일 뿐이다. 하지만 영화가 마법과도 같은 기지를 발휘하는 것은 영화의 엔딩 부분. 소녀와 남자는 우연처럼 만나고, 노인과 테레사 첸 도한 감격의 조우를 맞는다. 마치 정해진 운명처럼, 그들은 비극의 순간을 함께하고 또 서로에게 희망이 되어 주기도 한다.

 그러나 결국 이야기하고 싶은 하나의 메시지는 사랑하는 사람이여 내 곁에 있어줘.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로크백 마운틴, Brokeback Mountain  (0) 2006.07.04
숨바꼭질, Hide and Seek  (0) 2006.06.29
스윙걸즈, Swing Girls / スウィングガ-ルズ  (0) 2006.06.06
로봇, Robots  (0) 2006.06.01
4 브라더스, Four Brothers  (0) 2006.05.21
반응형



 팝송 ‘Singin' in the Rain'이 흐르고 화면은 빗물이 고여 있는 곳에서 물을 튀기며 재미나게 노는 장화신은 사람들. 굳이 영화 ’Singin' in the Rain'을 알지 못하더라도, 텔레비전 광고 속에서는 적어도 한 번 쯤은 보았음직한 모습이다. 그리고 알게 된 뮤지컬 '사랑은 비를 타고'.

 사실 나는 뮤지컬 ‘사랑은 비를 타고’가 영화 ‘사랑을 비를 타고, Singin' in the Rain''을 각색해서 만든 큰 규모의 해외 뮤지컬인 줄로만 알았다. 관람한 많은 사람들의 호평 덕이었을 테다. 그리고 시간이 많이 흘러 이제야 관람한 ‘사랑은 비를 타고’

하지만 뮤지컬 ‘사랑은 비를 타고’는 영화와는 아무 관련 없는 완전한 국내 창작 뮤지컬이다. 그것도 대규모 공연장에 대규모 배우들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딸랑 3명의 배우가 전부인 아주 조촐한 작은 규모의 뮤지컬이다. 그렇다고 실망한 건 없다. 늘 그렇듯 규모가 모든 걸 말해주는 건 절대 아니다. 작더라고 알찬 이야기에 배우들의 열연이 더 해지면 그것만으로도 사람들의 극찬은 충분하다. 뮤지컬 ‘사랑은 비를 타고’가 바로 그렇다.

 소식 없이 있다가 불연듯 집으로 돌아온 동생 동현과 집을 잘못 찾아와 벌이는 이벤트 회사 직원 유미리 그리고 동생 뒷바라지에 전력한 동욱. 이렇게 세 명이 이야기를 차근차근 풀어 나간다.

 사실 수많은 사람들의 극찬 때문에 극을 보기 전부터 기대가 가득했는데, 기대가 큰 탓이었는지 그 날 많이 아팠던 탓인지 극찬할 만큼의 충족감은 얻지 못한게 아쉬웠다. 그리고 동색 동현 역을 그날 맡은 개그맨 출신 서동균. 노래 실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그렇지만 두 번 보고 세 번을 봐도 그 감동이 더 하다는 평이나 다시 본 공연에서 더 큰 즐거움을 얻었다는 평이 많은 걸 보면 기회가 된다면 한 번 더 관람하고서 총평을 하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번 관람평은 수준에 미달하는 형편없는 극은 아니었지만 큰 기대를 충족시키는 약간 아쉬움이 남는 공연.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과 "백조의 노래"  (0) 2006.07.02
염쟁이 유씨  (0) 2006.06.25
봄날은 간다  (0) 2006.06.06
몽환곡 씨리즈 - 청춘의 노래  (0) 2006.05.28
[연극] 격정만리  (0) 2006.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