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누구나 10대 때에는 잘 어울리는 친구들이 있기 마련이다. 이 영화 ‘청바지 돌려입기, The Sisterhood of the Traveling Pants'는 그렇게 잘 어울려 친하게 지내는 4명의 소녀가 영화의 주인공이다. 그리고 4명의 소녀가 각자 보내는 여름방학의 이야기가 영화의 이야기다. 4명의 소녀가 겪는 여름방학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벌써 전형적인 성장영화라는 사실을 눈치가 빠른 사람이라면 벌써 알았을 터. 그렇지만, 영화를 직접 본 나는 초반부가 한참 지날 때까지 그 사실을 눈치 채지 못했다.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소재가 되는 겉모습도 체격도 서로 다른 4명에게 모두 잘 맞는 청바지가 내 눈에는 디즈니 영화 속에 주로 나오는 마법의 청바지처럼 보였고 그래서 마법의 청바지로 인해 일어나는 해프닝을 그린 가족 영화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영화를 봤기 때문이다.

 영화 ‘청바지 돌려입기, The Sisterhood of the Traveling Pants’ 속의 4명의 주인공의 서로 잘 어울리면서도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 4명의 소녀들에게 서로 체격이 다름에도 모두에게 잘 맞는 청바지를 발견하곤 16살 소녀답게 청바지 속에 마법이 숨겨져 있다고 믿으며 처음으로 서로 떨어져 지내는 여름 방학 동안 서로 10일 간 이 청바지를 돌려입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청바지를 입고 있는 동안 어떤 마법이 벌어졌는지를 알리는 편지와 함께. 그렇게 4명의 소녀가 청바지와 함께한 10일간의 모습을 영화를 보여준다. 그렇지만 기대했던 마법은 없다. 오히려 이 어여쁜 4명의 소녀들에게는 사랑과 죽음, 가족으로 인한 상처 같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하지만 그런 어려움을 통해 4명의 소녀들은 한층 더 성숙해져서 성장통으로 인해 힘들어 하지만 그래도 그런 성장통을 통해 행복만큼이나 슬픔도 삶에 있서 소중하고 타인을 더 배려할 수 있으며 가족을 소중함을 깨닫게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비록 내가 예상한 디즈니 스타일의 가족영화는 아니었지만 차분히 한층 성숙해져가는 소녀들을 모습을 잘 보여주는 영화였다. 거기에 하나 덧붙이면 지중해 그리스의 모습을 영화를 통해 볼 수 있는데 영화를 본 많은 사람들이 그 풍경을 언급하는 걸 보면 그리스의 모습을 찬찬히 살펴보는 것도 영화를 통해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재미인듯.

 소녀들의 성장 이야기에 재미를 느끼기에는 내 감수성이 충분하지 못한 탓에 영화를 보는 재미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성장 영화가 보여주는 주인공의 성취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 Mr. & Mrs. Smith  (0) 2006.09.13
본 아이덴티티, The Bourne Identity  (0) 2006.09.04
핑크팬더, The Pink Panther  (0) 2006.08.20
마인드 헌터, Mindhunters  (0) 2006.08.11
크래쉬, Crash  (0) 2006.08.05
반응형



2006 Communication IN Daehakro, 2006 커뮤니케이션 인 대학로
‘커뮤니케이션 인 대학로‘는
관객이나 공연자 어느 한 방면을 향한 소통이 아닌 양방향 소통을 추구한다.
또한 관객, 공연, 미술, 전시 그리고 공연장을 위한 소통이다.
그래서 관객들은 지켜보는 자세가 아닌 참여하는,
다시 말해 페스티벌 매개자 역할을 할 것이다.
관객들은 매개자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공연과 파티 등에서
신선하고 충격적인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소통 그리고 신선하고 충격적인 경험, 이것이 공연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위에 옮겨 적어 놓은 공연 판플렛은 내게 말하고 있었다.

 스크린을 통해 접하는 영화가 우리 삶 깊숙이 들어오면서 연극을 위시한 공연이 스크린을 무대로 한 영화와 차별될 수 있는 건 양방향 의사소통이다. 극 내용에 충실하고 관객이 적든 많든 혹은 반응이 좋던 좋지 않던 열심히 공연을 진행하는 것이 최고의 선이 아니라 공연을 이끌어 나가는 배우에 눈 앞에서 그의 연기에 반응하고 그로인한 신바람이 더 좋은 공연을 이끌어내는 것이 최고선에 더 가깝지 않을까. 극에 대해 무지한인 내가 이런 생각을 했을진데, 극에 빠져 사는 진짜 프로들이 이런 생각을 못했을 리가 없다. 아마 이런 생각과 고민을 통해 나온게 아닌가 싶은 ‘2006 Communication IN Daehakro, 2006 커뮤니케이션 인 대학로’.

 내가 ‘2006 Communication IN Daehakro, 2006 커뮤니케이션 인 대학로’에서 관람한 건 ‘그림자로부터’, ‘기저귀Man’ 두 작품이다. 우선 ‘그림자로부터’에서는 근래 공연을 통해서 느끼지 못한 신선하고 충격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기저귀Man'을 통해서는 관객의 매개자 역할을 통해 극을 진행하면서도 관객의 관심을 잃지 않는 소통을 하면서도 흥미있는 공연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런 면에서 ‘2006 Communication IN Daehakro, 2006 커뮤니케이션 인 대학로’ - ‘그림자로부터’, ‘기저귀Man’ 은 놓치기 아까운 공연이었다.

 개인적으로는 특히 ‘그림자로부터’에서 큰 흥미를 느꼈는데, 손전등을 통해 비춰지는 빛이 만드는 그림자가 각도에 따라서 그렇게 사람에게 주는 느낌이 틀려질 수 있다는데서 놀랐고, 그런 놀라움을 공연의 영역까지 끌어온 배우와 극단에 찬사를 금할 수가 없었다. 익숙지 않은 새로움으로 인한 즐거움을 너무나 만끽할 수 있었던 흥미진진한 시간이었으므로 비록 ‘2006 Communication IN Daehakro, 2006 커뮤니케이션 인 대학로’ 는 이미 막을 내렸지만 강력추천하고 싶은 시간이었다.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리가면 Episode 5 - 또 하나의 영혼  (0) 2006.09.10
유쾌한 코미디 아트  (0) 2006.09.02
씨저스 패밀리, Scissors Family  (0) 2006.08.13
닭집에 갔었다  (0) 2006.08.08
검둥이와 개들의 싸움  (0) 2006.08.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