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6년 연극을 보면서 눈에 뛴 연출자가 한 명 있었으니, 그 이름이 바로 위성신이다. 올해 벌써 ‘사랑에 관한 다섯 개의 소묘’와 ‘닭집에 갔었다’ 이 두 작품을 무대 위에서 봤는데, 올해에만 그의 세 번째 연출작인 ‘THE BENCH'을 놀랍게도 보게 되었다.

위성신의 세 번째 작품 연극 ‘THE BENCH'는 벤치 위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리얼리티를 춤과 이미지를 통한 환상으로 표현한 극이라 할 수 있다. 거기에 전작 ’사랑에 관한 다섯 개의 소묘‘와 비슷하게 다양한 에피소드로 구성된 극이고, 또 다른 전작 ’닭집에 갔었다‘ 만큼은 못하지만 내용을 통해 리얼리티 잘 살리고 있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굳이 올해의 전작들과의 차이를 꼽으라면 ’THE BENCH'는 전작들과는 달리 안무가 첨가되었다는 것 정도가 외형상의 업그레이드다.

이야기의 내용은 큰 맥락에서 ‘Best & New - 사랑에 관한 다섯 개의 소묘’와 약간 유사한 느낌이었다. ‘Best & Nes - 사랑에 관한 다섯 개의 소묘’를 관람하고 나서 적어 놓은 글을 아래에 잠시 옮기면

산천(山川)은 의구(依舊)하되 인걸(人傑)은 간 데 없네
야은 길재의 시구 중의 한 구절입니다.
이 구절이 연극 ‘사랑에 관한 다섯 개의 소묘’를 보고서 떠올랐습니다.

물론 직접적인 연관이야 없지만, 왠지 연극의 공간인 여관방은 의구(依舊) 한데 그 안의 사람들만 바뀌고 그 사람들의 사연만 바뀌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일 것입니다.

 ‘THE BENCH' 역시 큰 맥락에서 살펴보면 의구(依舊)한 벤치와 그 위의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앞서 이 극 ‘THE BENCH'의 외형적인 변화로 안무의 첨가를 뽑았는데, 일반적인 연극의 모습에 만족하지 않고 새롭고 다양한 시도를 통해 표현의 방법을 넓혀가는 의도는 매우 만족스럽지만 아직 연극에서 보는 안무가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뜻하는 바를 알기는 내게 매우 어려웠다.

다양한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었지만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소주를 테이크 아웃 커피 통에 담아 마시던 여자가 제일 기억에 남았지만, 다른 에피소드들 역시 상황을 통한 극적 재미를 잘 보여준다.

 굳이 내게 아쉬움으로 남았던 점을 뽑으라면 다양한 에피소드가 연계성을 가지고 이어지는 이야기였으면 더 집중하고 재미있게 볼 수 있었을 것 같았는데 하는 아쉬움과 극에서 보는 안무가 친숙하지 못했던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 공연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지금은 ‘브랜드’ 라는 단어가 매우 일상적이고 익숙한 말이 되어 있지만, 내 어린 시절만 해도 지금 ‘브랜드’ 라는 단어가 가진 의미로 사용되던 단어는 ‘메이커’ 였다. 부르댕 아동복이나 김민제 아동복 같은 류가 그 시절을 떠올리면 생각나는 메이커 정도라 할 수 있다. ‘메이커’와 동격이었던 ‘브랜드’가 시간이 제법 흐른 지금의 눈으로 처다 보니 그 둘의 의미가 사뭇 다르다. ‘메이커’는 철저히 생산자 중심의 입장에서 시각이고 ‘브랜드’는 TTL 같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춘 소비자 입장이 중심이 되는 느낌의 단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메이커’와 ‘브랜드’를 구별하기 시작한건 얼마 되지 않았다는데 의의를 제기할 만한 사람은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브랜드’의 명확한 개념이 전무한 채로 그저 마케팅에 속해 있는 한 범주라는 정도의 의식이 강했다. 그러한 상황에서 ‘브랜드’가 가진 경제적 가치를 주목하고 경제적 가치에 입각하여 합리적으로 브랜드를 이야기한 것으로는 이 책 ‘브랜드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이 시초가 아닌가 싶다.

 이 책은 그저 유명한 회사의 상표로 제한된 의미의 브랜드가 아닌 자기 만족과 소비자의 욕구, 전반적인 경영의 형태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의미의 브랜드를 이야기 한다. 그 맥락으로 브랜드 인지와 지각 품질, 브랜드 연상, 브랜드 충성도 거기에 브랜드 확장까지 포괄적인 의미를 고찰하며 경제적 관점에서 브랜드를 어떻게 살펴 볼 것인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방법으로 자산으로서의 브랜드나 브랜드를 위한 마케팅 비용 대비 투자 효율 분석, 브랜드 가치 측정 방법 등 제시해 준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일반적인 마케팅 서적이 취하는 형태인 사례별 접근 예 또한 포함하고 있는데 인텔, 나이키, 스와치, 할리 데이비슨, 소니 외에도 대상, 태평양, SK텔레콤 등 기존의 외국 서적에서 다루지 못했던 한국 기업의 사례를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사실 책의 첫 장을 넘길 때는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책일 것 같은 기대 하에서 읽어나가기 시작했는데, 큰 줄기를 가지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대가의 책에 비하면 분야별 보고서를 모아 놓은 듯한 느낌 때문에 기대치 만큼 재미있게 읽어나가지는 못했다. 게다가 경제적 시작에서 브랜드를 논하는 부분 역시 잘 서술하고 있지만 깔끔하다는 느낌은 보다는 2%는 모자란 것만 같은 느낌이었다. 

 그래도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지속적으로 ‘브랜드’에 대해 연구를 해왔고, 분명히 삼성 그룹의 브랜드 전략에 직간접적으로 인연을 맺고 있는 사람들이 저자라는 걸 떠올리면 읽는 재미가 떨어진다손 쳐도 읽어 봄직한 책이 아닌가 싶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