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이 흐르면 그만큼 기억은 흐릿해지기 마련이다. 특별히 인상 깊었던 것이라면 시간의 흐름과 흐릿해지는 기억 속에서 좀 더 자유롭지만 그렇다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연극 ‘사랑을 주세요’를 관람한지가 족히 한 달이 넘었다. 무엇이던 세심하게 기록해 두는 법이 없는 내 습관 탓에 연극 ‘사랑을 주세요’도 극을 관람할 당시 내가 가졌던 세세한 느낌과 아쉬움은 흐릿해진 기억과 함께 사라지고 말았다.  비록 영단어 'Detail‘이 가진 세심함은 사라졌지만 대신 다른 영단어 ’Impressive'가 가진 선 굵은 느낌의 인상적인 특징만 살아남았다고 할까.

 연극 ‘사랑을 주세요’를 집약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말은 ‘Yonkers 가족 이야기’ 정도면 충분하다. Yonkers가는 병으로 죽은 엄마의 병원비를 갚기 위해 할머니에게 맡기고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아버지 에디와 그의 두 아이 제이와 아리, 페병의 후유증으로 관객까지 깜작 놀라게 목소리를 가진 거트 고모와 건들건들 건달의 이미지가 제대로인 삼촌 루이, 정신적으로 미성숙 특징적인 막내 고모 벨라와 할머니까지 7명이다. 이들 7명 사이의 가족 이야기가 바로 연극 ‘사랑을 주세요’의 줄거리다.

 이런 가족이 소재인 공연에서 관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것은 뚜렷하게 나타나는 각각의 개성과 그것과 어울러져 나타나는 그들 간의 갈등이다. 이러한 흥미 요소는 이 ‘사랑을 주세요’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내가 흥미로운 건 벨라와 할머니였다.

 과장된 행동과 말투와 이와 함께 표현하는 기쁨과 슬픔의 감정이 벨라의 겉모습이었다면 자신을 안아주는 사랑을 그리워하는 여자로써의 모습은 극의 후반에서야 알 수 있는 벨라의 속모습이었다. 쉽지 않은 배역을 표현하기 위한 배우의 노력이 그대로 관객에게도 전해져 많은 사람의 호평이 있는 것 같다. 물론 그 뿐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미성숙함을 인정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의미를 찾고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려는 극 중 모습 또한 관객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개인적으로 배우 노현희에 대해서는 언젠가 토크쇼에서 봤던 ‘십오야’의 인상이 강했는데, 이번에 ‘십오야’의 이미지를 보다 진짜 연기자에 한 발 더 다가간 느낌이어서 기분 좋았다.

 할머니의 경우는 벨라의 것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다. 벨라의 경우는 감정을 표출하는데 치중해야하는 역할이라면 할머니는 강철 같이 강하면서 자신의 행동이 절대 잘못되었을 리 없다는 굳은 신념을 보여줘야 하는 역할이었다. 험난한 시련을 이겨내고 그 속에서 자신의 가족을 보살피기 위한 어머니로써만이 아니라 험난한 세상에 맞서 당당히 살아갈 수 있는 사람으로 자녀를 키워야 한다는 신념 역시 강한 사람이었다. 다만 모든 것이 과유불급인지라 따뜻한 사랑과 강인함을 적절히 더 조절했으면 더 좋았을 걸 하는 그런 사람이었다.

 거기에 강인함보다는 나약함이 더 어울릴 것 같지만 자신의 두 아들을 아끼고 사랑하는 아버지 에디와 건들건들 건달이지만 어머니의 속마음까지 이해하는 루이 삼촌 역시 나름의 매력을 가지고 있다.

 2시간 반이라는 긴 공연 시간 탓에 부분부분 지루함과 열연하는 배우와는 상관없이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약간 지칠 수 있는 공연이었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관객의 눈높이에 맞춘다는 미명하에 소위 인기 트렌드에만 집착하는 일련의 공연들을 따라가기 보다는 극의 재미와 배우의 열정적이고 뛰어난 연기력을 추구하는 공연이라는 느낌이 강했다는 건 분명한 사실.

 같은 장소 같은 극단의 ‘삼류배우’를 보면서도 비슷한 생각을 했는데, 다시 한 번 더 같은 장소 같은 극단의 또 다른 극을 기대하게끔 만드는 공연이었다. 얼마 전 종영했음에도
강.력.추.천.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라기  (0) 2006.10.26
현정아 사랑해  (0) 2006.10.19
거울공주 평강이야기  (0) 2006.10.03
스탠딩 가이스, Standing Guys  (0) 2006.09.27
THE BENCH  (0) 2006.09.16
반응형

 사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를 제외하고도 로마사에 관한 명저는 많이 있다. 하지만 수없이 많은 로마사 관련 서적 중 근래 들어 로마사에 관해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건 ‘로마인 이야기’가 유일하다. 이는 보통의 역사학자들이 가진 시각에 철저하게 근거하여 역사를 서술하기 보다는 역사학자들만큼의 풍부하고 많은 사료를 가지고 역사를 논하기 보다는 재미나는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형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작가의 자유로운 시선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로마인 이야기 4 : 유리우스 카이사르 상’이 아닐까 싶다. 이는 로마사를 다룬 시리즈에서 과감히 2권에 걸쳐 한 인물을 이야기하는 파격을 보이기 때문이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라는 말보다 카이사르 평전이라는 말이 더 어울릴 정도다.

 아무튼 ‘로마인 이야기 4 : 율리우스 카이사르 상’은 카이사르가 태어난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래서 유년 시절, 소년 시절, 청년 시절, 장년 시절, 중년 시절 그리고 갈리아 전쟁 때 까지의 카이사르 전기다. 책의 분량이 500 페이지가 넘는 걸 떠올리면 중년 시절까지의 이야기 범위는 너무 좁지 않느냐는 생각이 들기 쉽다. 그렇지만 실제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하면 누구라도 금방 카이사르의 매력에 금세 빠져들 것이 분명하다. 작가 역시 이런 카이사르의 매력 때문에 전권 15권 중에서 과감히 카이사르에게 2권의 적지 않은 분량을 사용했을 것이다.

 점점 존경할 만한 인물을 찾기가 어려운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카이사르는 무척이나 매력적인 인물이었다. 그의 나이 40이 되기 전까지는 존재감마저 크지 못한 사람이었지만, 전형적인 대기만성형 인물로 적까지 포용할 수 있는 관대함을 가졌으면서도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신속히 판단을 실행에 옮기는 실천력까지 겸비했다. 또한 문무에 모두 능하여 ‘로마인 이야기 4 : 율리우스 카이사르 상’의 후반부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는 갈리아 전쟁을 늘 상대편 적보다 적은 수의 병사로 물량이 아닌 전투의 질과 전술로써 압도했으며 정치력 역시 적까지 포용할 수 있는 관대함과 더불어 자신이 의도한 대로 상황을 흘러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는 능력까지 가졌다. 거기에 수많은 연인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싫어하는 연인은 아무도 없었다는 사실까지 카이사르가 가진 매력은 무궁무진하다.

 지성, 설득력, 지구력, 자제력 그리고 지속적인 의지까지 최고의 지도자에게 요구 되는 자질을 모두 가졌음에도 그 자질은 스스로 만들어 나간 점까지 그저 역사 속 한 인물보다는 존경하고 싶은 인물의 반열에 오를 만한 사람이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시리즈의 순서를 무시하고서라도 필독하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