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대가 바라는 영원’.
마치 제목만을 보거나 들으면 마치 어디선가 들어봤음직한 소설 제목 중의 하나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언뜻 든다. 그렇지만 ‘그대가 바라는 영원’이라는 그럴 듯한 이름으로 세상에 가장 먼저 선 보인 건, 게임이라고 한다. 일본 미소녀 게임. 그리고 그것이 총 14편의 애니메이션으로 다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우선 게임부터 해보고 애니메이션을 보는 것이 순서처럼 느껴지나 내가 그다지 게임에는 관심이 없는 탓에 게임은 그냥 훌쩍 뛰어 넘겨버리고 그냥 애미메이션 ‘그대가 바라는 영원’만을 이야기하기로 한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보다보면 자주 여고생이 중심이 되어 이야기가 엮여져 나가는 식의 것들을 자주 접하게 되는 것 같다. 혹자는 이런 것들을 뭉뚱그려 학원물 러브스토리라는 이름으로 칭하기도 하는 것 같다. ‘그대가 바라는 영원’ 역시 큰 범주에서 보면 학원물 러브스토리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흔히 접했던 것과는 약간 다르다는 것을 극을 보는 도중에 느낄 수 있다.

이야기는 다카유키, 하루카, 미츠키라는 세 사람이 중심을 이룬다. 고교시절 내 다카유키를 좋아하던 하루카는 절친한 친구 미츠키의 도움으로 다카유키에게 자신의 감정을 전달할 수 있게 되고 그 둘은 연인의 관계로 발전한다. 그러다가 하루카와 만날 약속을 하고 하루카를 만나러 가던 다카유키가 미츠키를 길에서 우연히 만나고 그러면서 약속 시간에 늦어버리게 되는데, 하필이면 다카유키를 기다리던 미츠키는 인도로 돌진한 자동차로 인해 교통하고를 당하게 된다. 그리고는 3년의 시간이 흐른 후에야 눈을 뜨게되는데 그 사이 미츠키와 다카유키는 서로 사랑하는 사이로 발전하게 된다. 그러면서 이야기는 이어진다.

사실 애니메이션의 다른 장르에 비해 가지는 장점 중의 하나는 표현의 자유로움이다. 그것이 이야기의 흐름이 되었건 등장하는 사물이 되었건 실제 사람이 연기하는 것에 비해 자유로운 전개가 훨씬 용이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그대가 바라는 영원’은 그러한 자유로움을 과감히 버렸다. 이 점이 흔히 접할 수 있는 학원물 러브스토리와 다른 차별성을 주지 않나싶다.

이야기도 그림이 보여지는 방법도 보통 TV 드라마에서 흔히 보는 바로 그대로다. 이야기 배경에 그냥 배역을 그냥 그대로 사람으로 바꾸기만 하면 한 편의 TV 드라마가 나오겠다는 생각이 그냥 든다. 과연 애니메이션에도 카메라 앵글이라는 개념이 정립되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사람이기 때문에 가질 수 밖에 없는 앵글의 제약을 애니메이션이 그대로 보여 준다.

거기에 꿈을 얻고 사랑을 잃은 하루카와 꿈을 잃고 사람을 얻은 미츠키의 간의 대비와 그 둘 사이에서 고민하는 다카유키의 행동이 특이한 형식의 애니메이션에 그치지 않고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애니매이션이 되게 하지 않았나 싶다.

매우 독특한 형식에 그리고 내용 또한 쏠쏠한 재미를 가지고 있는 애니메이션이라 기억에 남을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시대가 변했다.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도 못한다는 옛말은 고사하고 이 영화 ‘여선생 VS 여제자’ 처럼 둘의 관계는 대립에까지 단계로 까지 변했다. 선생님이라는 직업도 마찬가지다. 靑出於藍(청출어람) 靑於藍(청어람)보다는 그저 생계의 수단이 되어 버린지 오래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런 생각을 생각을 영화 ‘여선생 VS 여제자’의 장규성 감독도 가졌던 것일까?

 사실 장규성 감독의 전작은 영화 말미에서 눈치 챘을 수 있는 ‘선생 김봉두’ 이다. 전작이 남선생 김봉두의 좌충우돌이었다면 ‘여선생 VS 여제자’ 는 여선생 여미옥(염정아)의 고군분투가 중심이 될 수 밖에 없는 영화다. 그러나 염정아가 아직 차승원 만큼의 코믹 배우로서의 이미지를 굳이지 못했기 때문인지 거기에 여제자(이세영)을 투입했다.

 아무튼 이렇게 ‘여선생 VS 여제자’는 염정아와 이세영의 어딘가 균형잡히지 않은 듯한 느낌의 티격태격 거림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그 가운데는 잘 생긴 미술 선생님으로 등장하는 이지훈이 있다. 이렇게 세 사람 간의 이야기가 주된 내용이다.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재미난 에피소드를 엮어 편하게 웃으며 보기에 부족함이 없게 했다. 그러면서도 바람직한 선생과 학생간의 관계를 결국에는 보여주려는 노력 역시 잊지 않는다.

 앞서 이 영화 ‘여선생 VS 여제자’에서 중심은 어쩔 수 없이 여선생인 염정에게 쏠릴 수 밖에 없다고 했는데, 영화를 본 후의 느낌은 염정아가 이제야 비로소 연기에 자연스레 녹아들고 있지 않은가 싶었다. 허점이 여기저기 보이는 나이 찬 처녀 선생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지나친 오버없이 해 나가는 것을 보고는 예쁘장한 미스코리아 출신의 배우가 아닌 배우 염정아가 거듭날 가능성이 보였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신이 산다  (0) 2005.11.12
B형 남자친구, My Boyfriend is Type-B  (0) 2005.11.11
귀여워  (0) 2005.10.06
댄서의 순정, Innocent Steps  (0) 2005.10.03
이터널 선샤인,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0) 2005.09.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