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ll made movie 라고 했던가? 그야 말로 잘 만들어진 영화를 우리 영화판에서 접하는 것이 이제는 별로 어렵지 않나 싶다. 그리고 이런 생각을 다시금 느끼게 해 준 영화가 바로 영화‘혈의 누’를 보면서 느꼈다.

 사실 ‘혈의 누’라는 제목을 접하면 우선 드는 생각은 이인직의 신소설 ‘혈의 누’이다. 그렇지만 이 영화 ‘혈의 누’는 소설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다. 그저 ‘피 눈물’이라는 뜻을 ‘혈의 누’라는 우리 귀에 익숙한 문구로 표현한 것뿐이다. 1808년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연쇄살인사건과 그 사걸을 파헤치려는 수사관의 이야기다. 물론 사건은 쉽게 해결되지 않고 결국 사건이 해결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뒷끝까지 깨끗하지는 못하다.

 이야기는 아래와 같다. 7년 전 대부분의 주민이 제지를 만들어 생업을 유지하는 동화도라는 섬에서 잔혹한 참형을 받은 자들이 있었으니, 그들이 바로 섬의 유지인 강객주 일가였다. 그들은 천주쟁이라는 억울한 누명으로 효시, 거열, 육장, 도모지 그리고 석형 같은 중벌을 받고 죽었다. 그리고 7년이 지난 지금 상납할 제지를 가득 실은 운반선이 불타고 강객주 일가가 받은 중형을 모방한 연쇄살인 사건이 동화도에서 발생한다. 그로인해 강객주의 원한이 부른 복수라고 마을 사람들은 생각하며 불안에 떤다.

 이에 조정에서는 수사관 ‘원규’를 파견해 누구의 원한으로 발생했다는 식의 비합리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사건을 해결하려 한다. 그러나 강객주를 거짓 밀고한 5명의 사람들이 차례로 강객주 일가가 죽임을 당했던 방법대로 죽어가고 사건은 점점 더 미궁에 빠져들면서 동화도 사람들은 더욱 동요한다.

 그 속에서 강객주 딸 소연을 두고 벌이는 인권을 연기한 박용우와 두호를 연기한 지성. 그리고 코믹한 이미지로 각인되어서 진지한 역을 연기하기에는 적절히 않아 보였던 차승원. 거기에 치밀한 스토리를 따라는 긴강감. 이런 것들로 인해 영화 ‘혈의 누’는 잘 만들어진 영화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사실 한국 고전 미스테리 수사극이라는 한 번도 접해 본적 없는 장르인데도 불구하고 한 번 관심을 보기에 부족함이 없는 영화가 아닐까 싶다.
반응형
반응형
‘라이방’이라는 제목이 어딘가 익숙하다 싶었는데 연극 ‘라이방’은 2001년 이미 영화로 상연된 바 있는 작품을 연극으로 옮겨온 아주 특이한 케이스의 연극이었다. 보통 연극 무대에서 성공해 영화로 가져가는 경우는 종종 있어도, 공간과 표현의 제약에서 훨씬 자유로운 영화에서 연극이라니, 발상 자체가 매우 신선한 그리고 은근슬적 보지 못한 영화도 같이 보고서 비교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하나 더 놀라운 건 영화 ‘라이방’은 흥행작이 아니었다는 사실. 영화에서 연극으로 판을 바꾼 것도 놀라운데 흥행실패작을 대상으로 했다는 건 더 놀라왔다.

 극은 택시 기사 세 사람의 이야기다. 허름한 대포집에 앉아하는 농담 따먹기가 고작인 세 명의 택시 기사들은 오늘도 허림한 대포집에서 이야기를 주고 받는다. 입만 열였다하면 여자 얘기에 허풍이지만 실은 겁 많고 소심한 진상과 열 여덟에 덜컹 낳아버린 딸을 키우며 살아가는 기진 그리고 유일하게 대학물 먹은 덕에 문자를 써가며 이야기 하지만 결국엔 명예퇴직 후 택시를 운전하게 된 재범이 바로 그 셋이다.

 직업이 택시 기사인지라 나름대로 거친 단어를 써가며 자신의 이야기를 서로에게 떠벌리는 그들. 그러나 진상, 기진 그리고 재범은 모두 살기 빡빡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보통의 소시민이다. 그런 만큼 모두 세상에 대해 울분을 토하며 신세한탄하는 걸로 시간을 보내기 일쑤이지만 지금 내가 그리고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이 가슴에 묻어둔 쉽게 말하지 못하는 이야기가 있는 것처럼 그들도 모두 가슴에 사연을 앉고 살아가고 있다.

 진상은 늘 허풍 치며 살지만 마음 속은 늘 무겁다. 세상 무서운지 모르고 서준 보증 덕에 한 번 써보지도 못한 빚이 계속 늘어나 늘 마음 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남들은 어린 고등학생과 원조 교제하는 줄 알고 있지만 사실은 열여덟에 낳은 딸을 키우느라 자신은 결혼도 하지 못하고 사는 기진은 늘 그의 딸이 걱정이다. 피아노에 남다른 소질을 보여 유학도 가고 피아니스트도 되고 싶은 딸이 늘 가슴에 남아있다. 재범 역시 다를 건 없다. 대학까지 나왔지만 명퇴 당한 그가 할 수 있는 있는 별로 없는데다가 어머니와 동생들 그리고 부인까지 부양해야 할 식구는 한 가득이다. 그런데다가 먹을 것 안 먹고 입을 것 안 입고 모은 돈을 사기 당해 한 순간에 날려 버려 가슴이 무겁다.

 그런데 이들의 고민들 결국은 돈이다. 남의 돈을 훔치고 싶은 욕망이 생길 정도의 절실한 현실과 경제적 압박이 결국 그들을 현금이 가득하다는 한 할머니의 집을 털러 가게 만든다. 그러나 그들이 찾아낸 건 돈이 아닌 할머니의 시체다. 시체를 보고 놀란 이들 셋은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익명으로 119에 신고하는데 뉴스를 통해 죽은 할머니의 이불 속에서 현금 3억원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곤 안 될 놈은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며 푸념이다.

 사실 극을 볼 때는 그냥 재미있게 봤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떠오르는 생각은 사람은 잘난 사람이거나 똑똑한 사람이거나 혹은 못난 사람이거나 할 것 없이 누구나 가슴엔 각기 다르지만 누구에게도 쉽게 말하지 못하는 걸 안고 살아가는구나 싶었다. 나도 그렇고 이런 건 내 옆에 동료도 마찬가지리라.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외로워도 슬퍼도  (0) 2006.04.02
[연극] 변성기  (0) 2006.03.29
두드락, DoodRock  (0) 2006.03.14
[뮤지컬] ROCK애랑전  (0) 2006.03.11
[공연]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0) 2006.03.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