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가 소설 '오발탄'을 알게 된 건 아마도 고등학교 시절이었던 것 같다아마도 국어나 문학 시간에 교과서를 통해 직접 배우지는 않았던 것 같지만그 나이 또래에 으레 몇 권씩은 섭렵했을 한국단편소설집 같은 책을 통해서 읽었던 것 같다그리고 시간이 훌쩍 지나서 근래 소설 '오발탄'이 아닌 영화 '오발탄, The Aimless Bullest'을 보게 되었다.

  소설 '오발탄'은 작가 이범선의 단편소설로 1959년 출간된 작품이다이 소설은 한국전쟁 이후 1950~1960년대를 배경으로 전쟁으로 인한 비참한 당시 시대상을 주인공 철호의 가족을 통해 신랄하게 보여주며 고발문학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소설이 발표 되고 2년이 지난 1961년 개봉한 영화 '오발탄'도 역시 소설에서 보여준 고발문학의 모습을 유현목 감독의 탁월한 리얼리즘 시각으로 화면으로 옮겼다그래서 그 시대를 직접 경험해 보지 못한 세대에의 입장에서는 글을 읽어 감으로써 시대를 이해하기 보다 직접적인 영상을 통해 훨씬 더 쉽게 그 시대의 모습을 보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영화가 감독의 눈을 통해 각색되기는 했으나그래도 원작을 충실하게 따라 가는 덕택에 이야기는 크게 다르지 않다주인공 송철호(김진규)는 한국 전쟁 시간에 가족과 함께 월남해 해방촌 판잣집에서 살면서 계리사 사무실에서 서기로 일한다박봉(薄俸)의 월급쟁이의 삶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탓에 식구를 부양하는데 늘 어려움을 겪는다그의 모친(노재신)은 월남한 이후 7년 동안 살아온 남한에서의 삶을 부정하며 항상 '가자'라는 말을 외친다음대 출신에 상당한 미인이었던 아내(문정숙)는 자신이 미인이었다는 사실조차 까맣게 잊어 버린 영양실조에 걸린 만삭의 모습이고부상으로 제대 후 백수로 지내는 동생 영호(최무룡)는 허황된 꿈만 꾸는 사고뭉치다여동생(최애자)은 식구들 몰래 어느새 양공주로 전락해 버렸고철호의 철없는 어린 딸은 집안 사정은 모른 채 고무신을 사달라며 조르기 일수다거기에 막내 동생 역시 학업을 포기하고 신문팔이를 하고 있다


 
 6.25
라는 피비린내나는 끔찍한 전쟁 후 삭막해진 사회의 모습에 실성한 노모의 넋두리만삭한 아내의 몸부림강도죄로 붙들려간 동생양공주로 몸을 파는 누이동생 같이 어디에도 희망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 환경 속에서도 앓는 이를 부여 안고 양심만을 지키려는 주인공도 결국 택시 안에서 만취한 모습으로 '지금 나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난 전쟁 중에 잘못 발사된 오발탄 같구나!'라고 읊조리는 이야기와 함께 지쳐 쓰러지고 만다. 

  거기에 영화 속 플롯(plot)을 통한 영화적 재미뿐만 아니라 약자의 생존과 침울한 사회상이 영화 속 쇼트에서 리얼리즘을 모습으로 보여 질 뿐만 아니라대담한 화면구도까지 더 하며영화를 통해 감독은 소설 원작이 갖는 재미를 한층 배가한다.  


 
 
지금까지의 논의는 지금으로부터 30~40년 전의 시각으로 본 것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특별히 한국 고전 영화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있거나감독 혹은 배우에 대한 애정으로 관람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자칫하면 재미없게 느껴 질 수도 있다는 점도 덧붙이고 싶다.

반응형
반응형
 


2008_09_05 ( 20:00, 2008_10_19 ()  15:00 

대학로 문화공간 이다 2관


 대학로 연극을 볼 때면, 어떤 극을 선택해야 할지 늘 고민하게 된다. 보통 그럴 때면 그 선택의 기준이 그 극을 이미 본 사람들의 평이나 선호하는 배우의 등장 여부가 되곤 하는데, 이것은 내게 있어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한 가지 예외가 있다면 극을 소개하는 팸플릿(pamphlet)에 본 연출자의 이름이 장유정 이거나 위성신 일 때다. 이는 지난 2~3년 간 가끔씩 접해 왔던 이들의 연출 작을 떠올려 봤을때, 무대 활용도와 극 중 이야기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한 기억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이런 이야기를 하건 건, 지금 이야기하려는 연극 멜로드라마가 바로 장유경 연출의 극이 때문이다.

 

 연극 멜로드라마는 작년에 처음으로 무대에 오른 극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했던 것들이 이유가 되어서 이미 작년에 관람을 했다. 그것도  초연 때 (http://www.withthink.kr/416) 관람을 포함해 앵콜 연장(http://www.withthink.kr/428)까지 관람을 통해, 벌써 같은 극을 두 번 관람하는 재미를 이미 경험했었다. 그리고도 올 해 또다시 이 연극 멜로드라마를 과감하게 선택했다.

 

작년 첫 관람은 순전히 극 중 이야기를 따라가는 데 집중하면서 봤다. 물론 효율적인 무대 사용이나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가 눈에 들어오지 않은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서 플롯(plot)에 의한 재미가 제일 크게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리고 앵콜 연장을 통해 바뀐 배우가 펼쳤던 두 번째 관람은 이미 첫 관람을 통해 이야기의 전개는 알고 있었던 덕분에 연출자가 극 여기저기에 숨겨 놓은 복선(伏線)이 눈에 띌 만큼 한층 편안한 마음으로 관람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올해, 다시 2 팀으로 나뉘어 바뀐 배우들로 다시 연극 멜로드라마가 무대에 올랐을 때, 작년의 기억을 떠올리며 강유경 역과 안소이 역에 각각 배우 김성령과 배우 김진희가 출연하는 화목토 팀과 같은 역에 배우 박소영과 배우 이진희가 출연하는 수금일 팀 공연을 과감히 모두 관람했다. (첫 공연이 금요일이었지만, 화목토 팀이 공연했다.)

 

 공연은 큐레이터인 유경이 펠리시안 롭스의 그림 성 안토니우스의 유혹을 설명하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멜로드라마라는 제목을 암시하듯 욕망이란 누르면 누를수록 더 큰 반동으로 튀어 오른다.’ 라는 복선과 함께 극이 시작된다.

 

극은 제목 그대로 통속적인 사랑이야기다. 그냥 서로 얽히고 설킨 불륜 이야기라고 봐도 크게 무리가 없다. 하지만 이 극의 재미는 그 복잡한 불륜의 이야기가 그저 드라마 속에나 나올만한 부도덕한고 나쁜 것이 아니라 슬프고 애달픈 것으로 관객에게 다가오는데 있다. 불륜이면 의례 머리끄덩이를 잡고 흔들어야만 될 것 같지만 머리채를 서로 잡고 싸우는 사람은 없을뿐더러, 누가 불륜으로 인한 피해자이고 누가 가해자 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등장 인물 모두가 각기 다른 상황 속에서 다른 방법으로 그저 사랑한 것뿐 이다.

 

어떤 사람은 끊어지는 않는 담배마냥, 사랑도 옆에 있는 사람 때문에 평생 참고 외면하는 것일 뿐이라고 이야기하고, 어떤 사람은 창문만 열어놔도 울리는 윈드벨 같이 예민한 감정 때문에 바람이 불지 않기 늘 기원하고 살아왔다고 이야기한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틀리지 않다. 잘난 속도 때문에 바람이 연애보다 더 열정적으로 느껴지지만, 바람은 결국 스치고 지나가기 마련이라는 이야기에도 고개를 끄덕이게 되고, 당신은 실수일지 몰라도 나는 운명이라는 이야기도 외면할 수 없다. 처음에는 누구의 사랑이 진짜 사랑이고, 과연 누구의 사랑이 잘못 된 것일까 싶었지만, 관람의 횟수가 늘어갈수록 결국은 전부다 자신의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 사랑한 것일 뿐이 아닌가 싶었다. 거기에 배우들의 진실된 연기가 주는 감동까지.

 

극의 플롯(plot)에서 얻는 재미에 아이디어 넘치는 무대 구성 그리고 관객의 심금을 울리는 배우들의 열연까지, 관람하기에 아쉬움이 없는 공연이었다.

 

과감히 관람해 보기를 추..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넌센스  (0) 2009.02.14
원샷 코미디! <플리즈>: 널 내 여자로 만들겠어  (0) 2008.12.04
리투아니아  (0) 2008.09.15
ROOM No. 13  (0) 2008.02.10
휴먼코메디  (0) 2008.02.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