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존맥스웰레스 패로트 지음 한근태 옮김 다산북스 | 2008 9

 

 책 이야기를 하기 전에 우선 하나 고백할 것이 있다나는 전형적인 A형 스타일로 소심하고 별로 말이 없는 스타일이라는 점이다그래서 살아가면서 사람들과 함께 하는데 것에 늘 어려움을 느낀다그래서 이렇게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책에는 늘 관심이 많다이런 측면에서 지금 이야기하려는 책 작은 시작 : 신뢰를 얻는 25가지 심리 기술, 25 ways to win with people’ 역시 내 관심 영역에 딱 속하는 책이다게다가 이 책의 번역자 한근태는 평소 자주 보는 인터넷 신문 칼럼을 통해 자주 그의 글을 접할 수 있었던 터였다아울러 자주 접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칼럼에서 이야기하는 삶에 대한 통찰력에 깊이 공감하고 내 자신을 되돌아 보곤 해서역자에 대한 기대감이 책에 대한 기대로 이어졌다하지만, ‘신뢰를 얻는 25가지 심리 기술’ 이라는 책의 부제는지금까지 읽어 본 책을 떠올려 봤을 때그 대상이 무엇이건 간에 본질에 대한 논의가 아닌 기술에 대한 논의를 하는 책의 경우 대부분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했다는 사실을 상기 시켜줬다이런 생각들로 이 책 작은 신뢰는 책에 대한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가지고 읽어 나갔다.

 

 이 책 작은 시작을 읽어가면서 직접적으로 떠오른 책이 하나 있다바로 사교력 : 유쾌한 인간관계의 기술이라는 유쾌한 인간관계를 이끌어가는 구체적인 방법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무척이나 권해 주고 싶을 정도로 방법론을 잘 설명해주고 있는데다가바쁜 생활 중에서 짧게 읽어 나가기에도 너무나 편리한 책이다하지만이렇게까지 인간관계를 기술적으로 해야 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 거둘 수가 없었다하지만이 책 작은 시작은 구체적인 방법론을 이야기하면서도 사람에 대한 중요성 또한 간과하지 않는다.

 

 책에서 가장 공감할 수 있었던 내용 중의 하나가 바로 자신으로부터 시작하라는 이야기다사람은 누구나 절대 자신이 가진 것 이상 줄 수가 없으며사람들과 잘 지내려면 스스로를 사랑하고 인정할 수 있어야 그것이 타인에게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거기서 참된 인간관계가 형성된다는 점이다물론 다른 사람을 만나기 전에 30초는 적어도 그들의 멋진 모습을 찾아야 한다는 ‘30초 규칙’ 같은 구체적인 실천 방안 또한 마찬가지로 공감되는 내용이다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간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과 현실적 공감을 두 저자가 번갈아 가며 천천히 풀어 나간다.

 

 이렇게 책의 마지막 장까지 내용을 천천히 따라가다 보면 결국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장점과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대부분의 경우 그것을 타인뿐만 아니라 자신도 발견하지 못하는 것에서 빠져 나와 상대편의 장점과 가치를 인정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실 대부분 내용이 책을 읽기 전부터 우리가 벌써 알고 있는 것들이다하지만그것이 머리 속에서 이해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행동과 가슴에서 그대로 우러나올 수 있어야 한다는 지극히 당연하지만살아가는 삶에서는 쉽게 실천하지 못하는 것들의 중요성을 친절하게 알려준다.

 

내심 구체적인 실례를 더 많고 자세히 들어 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지만그것은 벌써 다른 책에서도 충분히 다루었기 때문에 너무 디테일 한 실천 방안에 대한 불만을 이야기하기 보다는 인간관계의 본질과 그 기술에 대해 균형 잡힌 이야기에 집중하고 책의 가치를 본다면 읽어 보기에 아쉬움이 없는 책이다.

반응형
반응형

황원갑 지음 | 바움 | 2008년 9

 

 지금 이야기하려는 책 한국사 여걸열전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사서(史書에 있어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우리 역사(歷史속의 여성을 재조명해 보려는 독특한 시도에서 시작되었다누구나가 다 알고 있듯이 우리의 사관(史觀)이 사마천의 사기(史記)가 보여준 왕조 중심의 기전체(紀傳體형식을 그대로 답습해 서술해 온 사서가 대다수여서그로 인해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역사 또한 시대와 왕조에 따라 보통 배워왔고그 속에서 여성이 중심이 되어 발생한 사건에 대해서는 별로 접할 기회가 없었다그런데 이 책 한국사 여걸열전은 기전체 형식으로 이어진 정사(正史)의 한계를 훌쩍 뛰어 넘어야사(野史)를 포함한 전설(傳說), 야담(野談등 다양한 소재를 과감히 채택하여 이야기를 전개 하고 있다게다가 조선 이전 시대에는 부족한 사료(史料)로 인해 생긴 공백을 작가적 상상을 통해 채워 넣기도 한다그 덕분에 책에서는 그간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 속에서는 이름도 들어보지 못한 여걸의 이름을 여럿 발견 할 수 있는데다가흥미를 가지고 읽어 나가기에도 독자로서는 너무 편리하다.

 

 책을 읽어 나가기 시작하면서 다소 의아스러웠던 점은 특히 책의 전반부에 걸쳐 여걸 열전이라는 이름 아래 해당하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면서도 정작 주인공에 대한 직접적인 서술보다는 당시 시대상황을 전반적으로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었다사료의 부족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할 수는 있었지만저자가 책 머리에서 저자가 언급한 한국사 속의 여걸을 부각시키는데 아쉬움이 남았다신라와 고려 시대에 성 풍속도가 지금 우리가 가진 개념과 많이 다르다는 사실 역시 매우 큰 충격이었는데그 보다 책을 읽어가면서 주로 고려 시대 부분에서 가계도(家系圖)를 이해하는 것에도 매우 어려움을 겪었다누가 누구의 자녀이고 또 어떻게 결혼을 했는지가 예상보다 너무 복잡했기 때문이다.

 

 내심 우리 역사에 대해서는 전문가 수준까지는 아니라도비교적 친숙하다고 지금까지 생각했었는데이 책을 통해서 허황옥도미의 아내한주미실궁주연수영신명순성황후천추태후기황우문정황후소현세자빈 강씨 그리고 임윤지당에 이르기까지 국어나 문학 시간에 잠깐 접해 본 이름내지는 전혀 알지 못했던 이름이 수두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그 외에 상식적인 수준에서는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다른 인물들에 관해서도 그 지식이 너무 미천했다는 사실에 새삼 놀랐다.

 

 마지막으로 이 책 한국사 여걸 열전이 그 내용에서도 실제 읽어 나가는데 있어서도 매우 좋은 책이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특히 고대사 부분에 있어서 작가적 상상력을 동원해 이야기를 풀어간 사실이나아직 학계에서 정설(定說)로 인정 지 못하는 여러 설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아직까지 여러 의견이 분분한 만큼 하나의 의견으로써 가지는 가치는 충분하지만 그 이상으로 받아들이는 것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싶다.

 

 하지만읽어보기에 재미도 내용도 충분한 책이라는 점에서

직접 읽어보기를 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