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댄 애리얼리 지음|
이 책 ‘상식 밖의 경제학, Predictably Irrational’은 합리적 사고를 통한 최선의 행동을 바탕으로 사회 현상을 기술해 나가는 전통 경제학에 반기(反旗)를 드는 책이다. 하지만 잠깐 사람들의 실생활을 떠올려 보면 그 속에서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이 비이성적인 면이 많다는 사실을 금세 알 수 있다. 이렇게 실생활에서 전통 경제학이 놓치고 있는 부분을 이 책 ‘상식 밖의 경제학’의 저자 댄 애리얼리는 주목한다. 그러면서 책에서 소개하는 행동 경제학을 통해 인간의 비이성적 행동과 판단에 대한 이야기를 책을 통해 풀어 나간다.
책에서 저자는 잠시만 앉아서 곰곰이 생각해 보면 자신의 선택이 합리적이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13가지 행동 유형을, 간단하면서도 사람들의 의식세계를 잘 엿볼 수 있는 기발한 실험을 통해 이야기해 나간다. 사람들은 흔히 인간은 만물의 영장으로 합리적 판단과 행동을 통해 발전해 왔고, 역사적 사실이 그것을 증명해 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의 주위를 잠시만 둘러보면 금세 같은 실수를 수없이 반복하는 자신의 모습을 비롯해 다양한 반례를 볼 수 있다. 저자는 이러한 모습을 독자에게 지적하면서 사람들이 늘 이성적인 판단과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앞서 말한 13가지의 간단하지만 기발하고 또한 매우 직관적인 실험을 통해 인간의 판단과 행동이 얼마나 비이성적인지를 보여준다.
이 책 ‘상식 밖의 경제학’이 갖는 재미와 가치는 정말 매우 크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통 경제학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무시해서는 우(愚)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하고 싶다. 한 개인개인의 개개인의 행동 혹은 작은 집단에 있어서는 책에서 이야기하는 행동경제학이 사람들의 판단과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을 잘 설명해 주지만 그것이 거시적(巨視的)인 현상을 설명하는데는 부분에 까지 확장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거시적(巨視的)인 현상의 경우에는 있어서는 아직 전통 경제학을 통해 이해하는 점이 훨씬 합리적이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전통 경제학과 행동 경제학의 영역을 나누기 보다는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안목을 더 키울 수 있는 기회로 삼으면 더 좋지 않을까 싶었다.
일독(一讀)해 보기를 추천(推薦).
Tracked from Read & Lead at 2009/03/02 08:53 x
제목 : 비교, 알고리즘
상식 밖의 경제학 댄 애리얼리 지음, 장석훈 옮김/청림출판'상식 밖의 경제학'엔 재미있는 얘기들이 많이 나온다.그 중의 하나..MIT 슬론 경영대학원 학생 100명에게 Case 1과 같이 3가지 선택을 제시했을 때 학생들은 온/오프라인 정기구독을 온라인 정기구독보다 훨씬 더 많이 선택했고 오프라인 정기구독은 아무도 선택하지 않았다. 반면, Case 2와 같이 2가지 선택을 제시했을 때 학생들은 온라인 정기구독을 온/오프라인 정기구독보다 더 많이......more
Tracked from Read & Lead at 2009/04/24 09:43 x
제목 : 앵커, 알고리즘
상식 밖의 경제학 댄 애리얼리 지음, 장석훈 옮김/청림출판오스트리아의 동물학자/비교행동학자인 콘라드 로렌츠는 오리,거위,백조,기러기 같은 조류들이 부화 후에 가장 먼저 눈에 띈 대상을 어미로 인식하고 애착을 갖게 되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각인 현상 (imprinting)이라고 하고 그 특정한 시기를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라 한다. 금방 부화된 병아리는 어미 닭만을 졸졸 따라 다니며 그 곁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처음으로 눈......more
'Books > Social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력의 경영, Managing with POWER (0) | 2008.09.28 |
---|---|
왜 사랑하기를 두려워하는가 : 사랑에 관한 심리학 강의 16장 (0) | 2008.09.20 |
성공을 바인딩하라 – 기적의 노트 ‘3P 바인더’의 비밀 (0) | 2008.09.07 |
폭풍 속에서 마음 다스리기, Strength is the Storm (0) | 2008.08.31 |
NO! : 인류 역사를 진전시킨 신념과 용기의 외침 (0) | 2008.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