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권섭 지음 | 다산북스 | 2008년 10월
흔히 사람들은 양반(兩班)과 선비의 의미를 혼동하곤 한다. 조선시대의 양반은 동반이라고 칭하던 문관(文官)과 서반이라 칭하던 무관(武官) 동반과 서반을 통치해 부르던 호칭으로 지배 계급을 뜻하는 말이다. 이에 비해 선비는 학식이 있고 행동과 예절이 바르며 의리와 원칙을 지키고 관직과 재물을 탐내지 않는 고결한 인품을 지닌 사람을 이르는 말로 지배층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하지만 의식주(衣食住) 문제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학식과 행동 그리고 예절에 의리와 원칙을 지킬 수 있는 계층이 결국 지배층일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이 선비를 양반과 같은 계층의 사람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런데 지금 이야기 하려는 책 ‘선비의 탄생: 퇴계 이황부터 추사 김정희까지’는 원래 선비가 지는 의미에 주목하고 그에 합당한 인물 9을 뽑아 그들이 이야기를 담담(淡淡)하게 지면에 펼쳐 놓는다.
저자가 책에서 퇴계 이황, 남명 조식, 율곡 이이, 송강 정철, 난설헌 허초희, 교산 허균, 고산 윤선도, 다산 정약용, 그리고 추사 김정희 이렇게 9명을 진짜 선비로 꼽고 그들이 평소에 주고 받았던 서간(書簡)과 시(詩)를 기반으로 그들을 있게 한 가족과 친구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거기에 저자가 국어 선생님인 것에 걸맞은 서간과 시의 국역은 마치 고등학교 시절 국어나 문학 시간을 떠올리게 하면서 보통 독자가 가진 한자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준다.
책에서 저자는 9명의 선비를 다루었지만, 책을 읽는 독자로써 가장 관심이 갔던 인물은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 이렇게 두 인물이었다. 우선 퇴계는 그간 뛰어난 성리학자로만 알아 왔던 터라, 전혀 예상하지 못한 책에서 소개하는 따뜻한 생활인으로써 모습에 너무 놀랐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남명은 그간 내가 가지고 있던 전형적인 강직(剛直)한 선비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었다. 완전히 서로 다른 자세로 일생을 살아 왔지만, 그들이 추구하는 바는 결국 같으며, 두 사람 모두 진짜 선비라고 이야기하는데 전혀 모자람이 없었다. 다만, 강(剛)보다는 유(柔)에 가치를 더 두는 가치판단 때문에 퇴계의 모습에 더 감흥(感興)을 느끼지만, 남명을 포함한 나머지 7명의 선비 모두가 살아가는데 지표로 삼기에 부족함이 없다.
책을 읽어가면서 아쉬운 점도 몇 가지 있었는데, 우선 다양한 서간과 시의 국역과 함께 원문도 함께 있었으며 하는 아쉬움이 컸다. 거기에 저자가 어떤 기준으로 9명을 선정했는지에 대해 프로로그(prologue) 같은 부분을 따로 마련해 독자에게 알려 주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허초희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있어서(231 쪽 처음) 생몰년(生沒年)이 아버지 허엽의 것으로 나와 있으니, 추후에는 수정했으면 좋겠다.
Commented by 위드블로그 at 2008/12/03 17:04
위드 블로그 클로즈베타를 통해 블로깅에 필요한 다양한 소재들을 제공받고 솔직한 체험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리뷰작성에 참여해 보세요. 더불어 블로그지원금의 혜택을 먼저 체험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가장 블로그에 가깝고 블로거를 이해하며 블로그가 중심이 되는 블로그마케팅을 위드블로그에서 함께 하는 것은 어떨까요? 위드블로그를 변화시킬수 있는 소중한 참여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 참여방법
위드블로그 (http://withblog.net)로 접속한 뒤 아래의 인증 번호를 입력하신 후 베타테스트에 참여하시면 됩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beatshon@blogcocktail.com으로 문의해주시면 친절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인증 번호 : UEWEQ3HWV9VWUWB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신청하도록 하겠습니다. ^^
'Books > Novel &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핏빛 자오선, Blood Meridian (0) | 2008.12.16 |
---|---|
눈먼 자들의 도시, Ensaio sobre a cegueira (0) | 2008.12.07 |
스토리텔링의 비밀: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Aristotle’s Poetics for Screenwriters (0) | 2008.11.26 |
미술관에 간 경제학자 (0) | 2008.11.16 |
가고일, THE GARGOYLE : 불멸의 사랑 1, 2 (0) | 2008.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