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이클 티어노 지음 | 김윤철 옮김  아우라 | 2008 11

 

 스토리텔링(story telling)은 요즘 사람들에게 널리 회자(膾炙)되는 분야 중 하나다공식석상에서의 발표(發表, presentation)을 비롯해 다양한 의사 전달 상황에서 자신의 입장이나 정황을 적절히 전달해 줄 수 있는 이야기를 사용해 자신의 의사를 더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근래 말하는 스토리텔링의 요()근래 유행하는 만큼 이러한 생각을 기반으로 근래 출판된 관련 책도 제법있는데, ‘5가지만 알면 나도 스토리텔링 전문가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대표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지금 이야기하려는 책 스토리텔링의 비밀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는 약간 다르다.

 

 이 책 스토리텔링의 비밀는 요즘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있는 의미의 스토리텔링 서적은 아니다이 책의 요는 글쓰기 특히영화 시나리오(scenario)를 비롯한 대본을 쓰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대본의 이야기를 잘 풀어 나갈 수 있을까이다그리고 그 연장선 상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 훌륭한 대본을 풀어가는 데에 있어 좋은 가이드 라인(guide line)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시학을 통해서 좋은 대본이란 어떤 것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저자는 책에서 좋은 대본을 위한 글이란 플롯 구성이 잘 된 글이라고 직접적으로 말한다스크린에 펼쳐지는 재미있고 강력한 이야기는 결코 대사나 성격 묘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없으며그것은 오로지 잘 짜인 플롯만이 만들어 나갈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그리고 주장하는 바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의 내용이 부합(符合)되는 부분을 통해 자신의 정당성을 만들어 나간다플롯 구성을 잘하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학’ 입문서라고 책을 소개하면서 시학을 통해 플롯 구성을 이해할 수 있는 것 마냥 이야기하고 있지만사실 책에서 시학이 갖는 위상은 저자가 제시하는 정당성의 보루(堡壘정도에 그치고 만다.

  
 대신 책의 저자가 실제 헐리우드에서 스토리 애널리스트(story analyst)로 활동한 경험이 책에 고스란히 녹아져 있는데그래서 자신의 경험을 포함해 21편의 실제 영화의 장면을 대상으로 잘 짜인 구성이 어떤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책을 다 읽을 무렵 들었던 생각이 하나 있다글을 쓰는 시나리오 작가가 건축물을 짓는 건축가와 닮았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건축가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사항이 멋진 건축물을 짓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완벽한 설계도가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만큼시나리오 작가 역시 좋은 영화를 위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건축 설계 이상의 세밀한 플롯 구성을 바탕으로 해야만 한다는 사실이다 비록기대와는 다른 내용으로 아쉬움이 없었던 바는 아니지만대신 영화를 보면서 책에서 이야기하는 영화의 뼈대가 무엇인지를 살펴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운 책 읽기를 할 수 있는 책이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