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제 사라마구, José Saramago 지음 | 정영목 옮김 | 해냄출판사 | 2008 10

 

 우선 책 눈먼 자들의 도시Ensaio sobre a cegueira를 읽기 전에 먼저 영화 눈먼 자들의 도시를 봤다는 이야기를 먼저 해야겠다그 덕분에 책을 읽어 보기 전부터 영화를 통해 책의 전반적인 이야기는 다 알고 있었다영화를 함께 본 사람들의 반응이 크게 두 가지였다하나는 갑자기 눈 먼 상태에 발생하는 것으로 인한 재난 영화라는 이야기였고다른 하나는 재난에 집중하기 보다는 극단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탐욕과 비윤리였다그래서 책에서는재난과 재난으로 발생하는 비인간적 행동을 동시에 주목할 생각을 가지고 읽어 나갔다.

 

 책 속의 이야기는 한 남자가 갑자기 눈이 머는 것에서 시작해 그 남자의 시력이 돌아오는 것으로 마무리된다작가는 실명의 원인도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그것이 전염되는 것도 그리고 회복되는 것도 어떠한 합리적 이유를 제시하지 않는다그리고는 이야기를 풀어나가는데이러한 점은 스토리텔링의 비밀: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Aristotle’s Poetics for Screenwriters’ 에서 밝힌 대로극적인 이야기 전개를 위함이라고 생각하기는 하지만개인적으로는 과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아무튼각설(却說)하고이야기는 실명이라는 재난으로 인해 실명한 사람들이 격리 수용되고그 속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episode)를 통해 전개된다

 


 하지만 저자는 순전히 실명으로 인해 일어나는 사건을 순전히 기술한 것에 그치지 않는다이야기 속 에피소드에서 눈이 멀게 됨으로써 모든 사람이 조건이 동일해 지게 되는 것에 작가는 주목하기 때문이다눈이 먼 사람들에게 눈이 멀기 전에 그 사람이 어떤 지위에 있었고 얼마나 많은 것들을 소유하고 있었냐는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그들은 모두가 그저 눈먼 사람일 뿐이다그러서 일까신기하게도 이 책에서는 그 누구도 이름을 드러내지 않는다의사의사의 아내검은 안경을 쓴 여자안대를 한 노인눈이 가장 먼저 먼 남자 혹은 눈이 가장 먼저 먼 남자의 부인 같은 식이다그 뿐 만이 아니라대화와 서술에 대한 구분도 없다그야 말로 인간 개개인의 개별성을 찾을 수 있는 요소는 모두다 없애 버린 채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아물러 눈이 먼 상태는 사람들에게 인간성(人間性)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한다모두가 눈 먼 상태의 어려운 상황이지만의식주(衣食住)를 장악함으로써 그들 사이에 착취(搾取)와 비착취(非搾取)의 계급을 만들고 착취자는 비착취자를 억압한다그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尊嚴性)은 찾을래야 찾을 수가 없다만약 여기에서 이야기가 끝났다면저자는 지금과 같은 명성을 얻지 못했을 것이다하지만 저자는 인간의 존엄성을 이야기하는 것이 무의미한 상태가 되어버린 사람들 사이에서 서로에게 의지하고 존중하는 하면서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물론 눈이 멀지 않은 의사의 아내가 존재했기에 가능한 일이기는 하다하지만그녀 역시 자신이 맡아야 할 일을 외면하지 않고 당당히 맞서나가는 것을 통해저자가 혼탁한 세상에서도 살기가 쉽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희망의 끈은 놓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