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춘예찬’ 듣기에도 보기에도 얼마나 기대되는 그리고 희망 가득한 말인가. 이런 제목을 가진 연극이라면, 단어가 풍기는 기대와 희망만큼이나 화사하고 파릇파릇한 느낌의 극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렇지만 ‘청춘예찬’은 내 예상을 철저히 거부하는 내용의 연극이었다. 대략의 내용은 이렇다.

청년은 22살이다.
아직 고등학교 2학년이며 졸업을 할지 말지는 아직 고민 중이다.
청년은 재미없는 일은 하지 않는다.
그의 집에는 두 가지 일만 하는 아버지가 있다.
하루 종일 누워서 TV보기. 이혼한 아내에게 용돈 타러가기.
그의 어머니는 아버지가 홧김에 뿌린 염산 때문에 눈이 멀었고, 지금은 재가하여 안마사로 일한다.
청년은 어느 날 친구의 사촌누나 간질이 일하는 다방에 놀러 간다.
그녀와 술을 마시다가 함께 잔다.
청년은 함께 살자는 여인을 받아들인다.
방 한 칸에 세 사람. 아버지와 청년은 술잔을 기울인다.
청년의 무분별한 방황에 아버지는 화를 낸다.
술 마시고, 노래하고, 간질 발작을 일으키고, 흥분하고, 욕하고.
청년과 간질 사이에 아이가 생긴다.
아버지는 새로 태어날 아이를 위해 천정에 야광별을 붙인다.

제목인 ‘청춘예찬’과는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내용이다. 극 속의 영민은 청춘을 예찬하며 지낼 만한 사정이 못된다. 영민은 문제아 고교생일 뿐이고, 그저 술로 소일하는 무능력한 아버지와 이혼 후 안마사로 일하는 맹인 어머니 그리고 간질을 앓는 다방 여종업원은 청춘예찬은 커녕 희망이 보이지 않는 밑바닥 인생의 남루한 일상이 연속인 사람들뿐이다.

그럼에도 아이러니 하게도 극의 제목은 ‘청춘예찬’이다. 지지리 궁상맞은 청춘의 예찬이라니...

하지만 비록 쿨(cool)한 청춘은 아니더라도 그들 역시 분명히 청춘이며 그 속에서도 청춘을 예찬하려 야광별을 붙이는 그들의 모습은 결국 버겁지만 그래도 열심히 살아가려는 지금의 청춘을 보여주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다.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춘천 거기  (0) 2005.10.10
[연극] 에쿠우스, EQUUS  (0) 2005.09.25
Akzine 공연  (0) 2005.02.02
[Concert] 내 귀에 도청장치 - 파라오 일일 나이트  (0) 2005.01.03
Groove All Stars  (2) 2004.12.31
반응형


 영화 ‘아일랜드, The Island’는 ‘웰컴 투 동막골’과 더불어 올 여름 상영관에서 본 영화다. 흔히 스케일이 큰 영화일수록 상영관에서 볼수록 더 실감난다고들 하는데 그런 면에서 영화 ‘아일랜드’는 상영관에서 보기에 적합한 영화다.

 ‘아일랜드’를 보면서 떠올린 영화가 있다. 2002년 개봉해 큰 인기를 끌었던 Tom Cruise의 ‘Minority Report,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그것이다.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도 미래의 모습의 배경이 영화 ‘아일랜드’는 ‘Minority Report'와 유사한 점이 많다. 하나 더 영화 외적인 이야기. 여자 주인공을 맡은 스칼렛 요한슨 Sacarlett Johansson을 영화를 통해서 본 건 ‘판타스틱 소녀백서, Ghost World'와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Lost in Translation'에서 였는데 특히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서 아직 유부녀라고 보기에는 어린 모습을 한 자그마한 체구의 Sacrlett Johansson 이었는데 이 영화에서는 그런 느낌이 사라졌다.

 영화의 제목이 ‘아일랜드, The Island'인 것에 비해 인간복제에 관한 내용이라 전혀 생뚱 맞아보일 수도 있지만, 아일랜드는 복제된 인간들이 이상향으로 생각하고 늘 가기를 원하는 곳이다. 그런데 건강하게 장기가 필요할 때까지 살아주기만 하면 되는 복제 인간이 의심하기 시작했다. 지구는 오염되었고 살아 남은 자는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복제 인간들 뿐이며 이상향인 오염되지 않은 아일랜드는 곧 천국이라는 사실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시작하는 영화는 복제인간은 단순히 장기를 제공하기 위한 개체가 아니라 똑같은 인간이라는 사실을 말하며 끝난다. 인간 복제에 관한 윤리 문제가 결코 무시해 버리고 말아도 상관없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영화는 잘 이야기 해주고 있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의 적 2  (0) 2005.09.21
큐브, Cube  (0) 2005.09.18
빈 집  (0) 2005.09.11
Samsara, 삼사라  (0) 2005.09.05
The Motorcycle Diaries,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0) 2005.09.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