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와 여타 주변국으로 이루어져있다고 그저 알고 있었을 뿐 인 남미. 사실 생각해 보면 남미는 아프리카만큼이나 우리와는 먼 곳이다. 단순히 수치적 거리뿐만 아니라 정서상으로다 말이다. 그리고 체 게바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여기저기서 체 게바라 평전을 자랑스레 들고 다니고 베레모를 쓰고 시거를 문 모습을 그의 모습을 그린 검은 티셔츠를 입은 사람들.

 지금 말하려는 영화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The Motorcycle Diaries’는 결국 남미와 체 게바라에 대한 영화다. 그렇지만 영화는 시작부터 그 둘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다. 다만 남미라고 느껴지는 건 평소 거의 접할 수 없었던 포르투갈어로 생각되는 익숙치 않은 언어와 그저 막연히 생각해 왔던 남미 스타일이 이런 게 아닐까 추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면들뿐. 게다가 체 게바라라는 이름은 영화가 끝나면서 언급할 뿐이다.

 그럼 글을 시작하면서 꺼냈던 ‘남미’와 ‘체 게바라’를 잊어보자. 그럼 영화는 그냥 road movie일 뿐이다. 푸세와 알베르토라는 두 젊은 청년이 우리로 보면 국토 횡단하는 정도의 의미로 오토바이 한 대에 의지해 남미대륙을 횡단하려한다. 그러면서 아직 알지 못했던 여러 사회상과 남미 고유의 문화 그리고 사람들을 알게 되면서 내적 성장을 한다는 이야기다.

 이번에는 ‘남미’와 ‘체 게바라’를 떠올려보자. 이렇게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해 보면 1952년 두 명의 아르헨티나 열혈 청년 어네스토 게바라와 알베르토 그라나다는 여러 모로 팍팍한 상황에 처해 있는 라틴 아메리카 대륙을 달랑 오토바이 한 대로 횡단하는 대장정의 길에 나선다. 8개월 동안 대륙 전역을 돌아다니며 펼치는 내밀한 여정을 통해 그들은, 낙후한 정치 사회적 문제로 신음하는 민중과 곳곳의 피폐함을 직접 목도하며 그 뜨거운 무엇을 서서히 느낀다. 그리고 급기야는 자신을 적극적으로 되돌아보며 난마처럼 얽힌 나와 사회의 관계에 시선을 던지며 진지하게 성찰하게 된다. 그리고 결국 이러한 성찰은 푸세를 대학가를 중심으로 한 젊은이들이 혁명적 아이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체 게바라’로 이끈다.

 그러나 내게 이 영화 ‘The Motorcycle Diaries’는 개인적 관심이 ‘체 게바라’에 미친 적이 없어서인지 ‘남미’와 ‘체 게바라’라는 두 단어를 잊고 본 두 젊은 청년의 정신적 성장을 보여주는 road movie 였을 뿐 그 이상의 의미는 아쉽게도 갖지 못했다.




                          &



          편        

                                - 황 동 규


내 그대를 사랑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 일것이다
언젠가 그대가 한없는 괴로움속을
헤메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보리라

진실로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내 나의 사랑을
한없이 잇닿은 그기다림으로 바꾸어
버린데 있다

밤이 들면서 골짜기엔 눈이 퍼붓기
시작했다. 내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그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할 것 뿐이다

그동안에 눈이 그치고 꽃이 피어나고
또 눈이 퍼붓고 할 것을 믿는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 집  (0) 2005.09.11
Samsara, 삼사라  (0) 2005.09.05
Notebook, 노트북  (0) 2005.08.26
웰컴 투 동막골  (0) 2005.08.18
레모니 스니켓의 위험한 대결, Lemony Snicket’s A Series Of Unfortunate Events  (0) 2005.04.13
반응형

C.S.I.(Crime Scene Investigation) LasVegas Season #2 23편을 얼마 전에 다 봤다. Season #1과 마찬가지로 PDA용으로 변환해 놓은 파일을 가지고 전철과 버스에서 주로 PDA를 이용해서 봤는데다. 그 덕
분에 어디를 가든 햇빛이 강해서 PDA화면을 보는데 지장이 없으면 심심하지 않게 다닐수있었다다녔다는....


Season #2에서 전편과 가장 크게 달라진 건 타이틀 음악과 배경 음악이다. Season #1에서는 비교적 조용히 시작하고 끝났던 것 같은데 Season #2는 그렇지 않다. 특히 엔딩 음악은 매번 갑자기 큰 소리에 깜짝깜짝 놀란다. 거기에 Season #1에서는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배경음악 역시 Season #2에서 처음 선보이는 것이다. 고로 외양적으로 보이는 가장 큰 변화는 기존의 내용에 음악의 첨가.


음악의 첨가 말고는 외형적은 변화는 거의 없다. 매 편 마다 Seanson #1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 사건이 동시에 진행되고 어지간해서는 각 사건을 마무리 짓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영어 듣기 연습하는 기분으로 무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고 있는데 Season #5까지 다 보고 나면 내 의도가 제법 실현되어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행  복  론

                                  - 최 영 미

사랑이 올 때는 두 팔 벌려 안고
갈 때는 노래 하나 가슴속에 묻어놓을 것
추우면 몸을 최대한 웅크릴 것
남이 닦아논 길로만 다니되
수상한 곳엔 그림자도 비추지 말며
자신을 너무 오래 들여다보지 말 것
답이 나오지 않는 질문은 아예 하지도 말며
확실한 쓸모가 없는 건 배우지 말고
특히 시는 절대로 읽지도 쓰지도 말 것
지나간 일은 모두 잊어버리되
엎질러진 물도 잘 추스려 훔치고
네 자신을 용서하듯 다른 이를 기꺼이 용서할 것
내일은 또 다른 시시한 해가 떠오르리라 믿으며
잘 보낸 하루가 그저 그렇게 보낸 십년 세월을
보상할 수도 있다고, 정말로 그렇게 믿을 것
그러나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 없고
인생은 짧고 하루는 길더라
반응형

'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든보이  (0) 2005.11.06
그대가 바라는 영원  (0) 2005.11.06
C.S.I. LasVegas Season #1 : Crime Scene Investigation  (0) 2005.08.14
런치의 여왕  (0) 2005.07.12
강철의 연금술사 (鋼の鍊金術師)  (0) 2005.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