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들어 살아가기에 정신이 없다. 특별한 것을 하는 것도 아닌데 언제나 바쁘다. 그래도 짬짬이 시간을 내어 책을 손에 잡고 있으려고 신경을 쓰는데, 곰곰이 살펴보면 그 책의 대부분이 실용서다. 순수 문학 작품을 읽은 지가 언제 인지도 사실 잘 기억이 나지 않으니, 뭔가 잘못 살아가고 있지 않나 싶다. 지금 말하고자 하는 소설책 ‘절벽산책, THE CLIFF WALK'는 이렇게 정신없이 분주한 삶을 사는 덕에 더 감성적으로 다가 왔다. 책은 소설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하면 작가가 겪은 일을 바탕으로 하는 자전적 소설이라는 사실을 금세 알아차릴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개인적 삶을 이야기하는 것이 절실하게 다가오는 것은 책에서 말하는 미국 베이비붐 이후 세대가 겪는 사회 문제가 벌써 당장 내 삶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되어 있기 때문이리라.

 초, 중, 고등학교 시절은 앞선 세대들처럼 시험의 압박 속에서 치러지는 경쟁 속에서 살아왔고, 그 이후로는 IMF로 야기된 문제와 고학력 청년실업이 남의 일이 아니게 되어 버렸다는 푸념을 가끔 친구들과 만나서 늘어놓은 우리의 모습이 결국 이 책의 주인공의 모습이 아닌가 싶었다.

 책은 어느 대학의 영문학 교수가 어느 날 갑자기 해고통지를 받고 2년간 방황하다 목수 겸 페인트 공으로서 새 삶을 살게 되는 것에 관한 이야기다. 이것은 앞서 언급했듯 허구가 아닌 작자의 자전적 논픽션(Non-Fiction)인 탓에 생생한 실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좋은 조건을 찾아 몇 차례의 이직 끝에 결정한 콜게이트 대학의 영문과 교수인 주인공은 자신의 삶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대체로 늘 승승장구했고 해고 같은 것은 꿈에도 생각지 않았다. 오로지 자수성가(自手成家)의 전형으로 스스로를 여기고 있었다. 저서도 논문도 많은데다가 학생들의 평판까지도 좋아 총장으로부터 해고통지는 순전히 사무 착오인줄 알았다. 그러나 해고는 냉엄한 현실이었다. 하지만 자신의 실력이면 얼마든지 다른 대학에 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해 처음엔 가벼운 마음으로 다른 학교에 지원서를 낸다. 그러나 결과는 계속 날아드는 거절 통지서다. 그러면서 차츰 자기 확신이 무너진다. 자기 확신이 무너진다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고통 역시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아내와 어린 4남매를 데리고 살아갈 길이 막막한 통에 집을 팔고 메인으로 이사를 갔지만 1백 여개 대학에 보낸 교수 지원서는 모조리 딱지다.

 스스로에 대한 실망으로 인해 엄습하는 허탈감과 분노. 그리고 그 속에 가장으로서 책임과 체면. 이런 문제들은 결국 가르쳤던 문학을 버리게 만든다. 골프장 청소부로 일거리를 잡기도 하고 목수 일을 배워 처음엔 시간당 15달러를 받으며 어느 날 갑자기 해고로 인해 급작스레 만나게 된 인생의 절벽과 그로 인한 고통 그리고 새로운 삶의 발견을 솔직하고 담담하게 그려나간다.

 앞으로 내 삶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행여나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나도 이 책의 주인공만큼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었으면...
반응형
반응형

 1813년 세상에 선보인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 Pride And Prejudice' 을 원작으로 한 영화 ’오만과 편견, Pride And Prejudice'가 올해 봄에 영화로 선보였었다. 개인적 취향의 차이 탓인지 수많은 사람들의 찬사에도 불구하고 남녀 간에 싹트는 사랑과 그 속에 숨어 있는 오만과 편견 보다는 산업혁명 이전 영국의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생활상과 배경이 내게는 더 선명하게 보였다. 마치 1996년 우리나라에 개봉 되었던 이안 감독의 새로운 ‘센스 앤 센서빌리티, Sense and Sensibility’를 다시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각설하고 이 영화 ‘오만과 편견, Pride And Prejudice’의 이야기는 아래와 같다. 영화의 주인공 엘리자베스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결혼을 믿는 영리하지만 자존심 강한 소녀다. 훌륭한 배우자와 결혼시키는 것이 일생의 가장 큰 일이라 생각하는 어머니와 아버지와 조용하고 전원적인 시골에서 함께 살고 있다. 그 조용한 시골에 부유하고 명망있는 가문의 신사 빙리, 그의 친구 다아시가 여름 동안 대저택에 되면서 그곳에서 열린 파티를 통해 엘리자베스와 다아시는 서로를 알게 된다. 그러나 자존심 강한 엘리자베스와 무뚝뚝한 다아시인 만큼 그들은 서로의 속내를 드러내지 못한 채 서로에게 관심을 갖게 된다. 그러던 중 다아시의 사랑 고백.

 하지만 다아시가 그의 빙리에게 그녀의 언니 제인과의 결혼을 제인이 명망 있는 가문 출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반대한 것을 알게 되자, 그를 오만하고 편견에 가득 찬 속물로 여기곤 그의 사랑을 외면한다. 서로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 빠져 서로 외면하지만 그들은 결국 오해와 편견을 극복하고 사랑을 이우러 간다는 것이 이야기의 전체 줄거리.

 지적이고 영리하지만 자존심 강한 엘리자베스와 친절한 구석이라곤 없어 보이는 무뚝뚝하고 잘난 척하는 다아시. 서로에게 매력을 느끼지만 자존심 때문에 겉으로는 전혀 감정의 표현하지 못하고, 서로에 대한 깊은 오해 때문에 반감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주체할 수 없을 만큼 강하게 끌리는 이 두 남녀의 로맨스 이야기.

 영화를 재미있게 관람한 사람이라면 영화 관람 후 제인 오스틴의 원작을 다시 읽어보면서 원작과 영화를 비교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그게 아니라 나처럼 오해와 편견을 극복해 가는 사람이야기에 큰 흥미가 없는 사람이라면 산업혁명 이전 전원적인 풍경의 영국 모습과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 같은 것들에 관심을 두고서 영화를 보는 것도 한 가지 관람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듯 하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사부일체  (0) 2006.12.10
인사이드 맨, Inside Man  (0) 2006.11.26
퍼펙트 크라임, Ferpect Crime / Crimen Ferfecto  (0) 2006.11.12
친절한 금자씨, Sympathy For Lady Vengeance  (0) 2006.11.08
맨발의 기봉이  (0) 2006.11.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