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경윤 편저 삼양미디어 | 2008 2


서양 문화의 원류(原流)를 이야기하는데 있어 빠지지 않는 두 가지가 있다바로 그리스로마신화를 중심으로 하는 그리스로마 문화와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문화가 바로 그것이다 실제로 문학 작품음악 그리고 미술에 이르기까지 서구(西歐문명의 많은 문화재와 예술작품이 그리스로마 그리고 기독교 문화에 기원을 두고 있다이런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서구 문물의 두 축의 하나이자 기독교 문화의 정수(精髓)라 할 수 있는 성경을 일독(一讀)하기를 널리 권한다또한 그로 인해 성경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이라고 말하기도 한다하지만 정작 성경을 일독해 본 사람을 주위에서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당장 내 경우만 봐도 군대 훈련소 시절 짬짬이 신약성경의 2/3 정도를 읽어 본 게 전부다그러던 차성경 속 이야기를 성경 속 내용을 다룬 수 많은 명화와 함께 풀어 이야기한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성서 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관심을 가지고 읽어 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

 

사실 이 책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성서 이야기가 성경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360여 페이지의 분량이 적은 것은 아니지만책 내용 중간중간에 수많은 그림을 포함하고 있고또한 관련 내용을 편자의 구미에 맞추어 정리한 내용 역시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다그렇다고 해서 책의 내용이 부실하다는 말은 아니다잠시 성경을 읽어 나가면서 가졌던 의문과 어려움의 대부분을 이 책을 읽어나가면서 해결해 나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성경 속 이야기를 설명하면서 그 내용과 관련된 그림을 함께 보여줌으로써앞 선 시대에서는 어떻게 성경의 내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작품을 통해 가시적(可視的)으로 나타내었을지 알 수 있었고또한 그림을 통해 내 스스로의 이해의 폭도 넓힐 수 있었다.

 

책의 목적이 복음(福音)에 있지 않고 , 상식으로써 성경의 내용을 알아가는데 있었는데이 또한  성경에 비해 쉽게 읽어가는데 일조했다.

 

 천지창조와 인류 탄생 이후 하나님에게 선택 받은 아브라함과 그 후손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그의 삶을 다양한 시각과 폭넓은 이해를 통해 조명 할 수 있는 좋은 책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패트리샤 아데소 지음윤성호 옮김 미래의창 | 2008 3


 

 이 책 외계인회사에 출근하다는 사람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직장 내 동료와 상사와의 관계에 사람들의 성격을 11가지로 분류하고 그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과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처세술을 이야기하는 책에서는 특정한 상황에서 어떠한 행동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보통의 설명 방법인데이 책 외계인 회사에 출근하다는 11가지로 분류한 성격을 이야기하는데 있어행동의 있어서는 외향형 vs 내향형특성에 있어서는 사고형 vs 행동형 그리고 논리형 vs 감정형 등과 같이 서로 대립되는 두 가지 특성을 묶어 11가지로 구별해 이야기 한다.

 

 각각의 유형을 이야기하는데 있어서도중구난방(衆口難防)식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각각의 유형을 정의하고 그런 유형의 사람을 예로써 보여주고 같은 유형의 사람끼리 일을 할 때와 다른 유형의 사람이 일을 함께 할 때를 각각 상사의 경우와 부하직원의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한다그래서 단순하지 않은 사람들의 유형과 관계를 책을 통해 이야기하는 것에 모자람이 없다또한 사람들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것에 있어서단순한 실례를 통해서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성격인지양식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 등은 심리학계에서 충분히 연구되고 충분히 합의가 된 내용을 바탕으로 서술해 나가기 때문에 이야기의 깊이에 있어서도 별로 모자람이 없다.

 

 그렇다고 해서 책을 읽는 동안에 단점이 보이지 않은 것은 아니다우선 11가지로 성격을 나누어 이야기하고 있는데외향형 vs 내향형사고형 vs 행동형 그리고 논리형 vs 감정형 같이 11가지 성격 유형이 서로 극단적인 부분을 꼽아 이야기하고는 있지만내 경우만 비추어 봐도 내 생각과 행동은 외향적인 부분과 내향적인 부분사고형으로서의 모습이 강할 때와 행동형의 모습이 강할 때 혹은 충분히 논리적이면서도 감성적이 함께 있는 부분이 종종 혼재되어 있는 모습을 알 수 있다는 사실이다게다가 11가지 성격 유형을 나누어 놓긴 했지만그 각각이 서로 혼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서 몇 가지 특성이 보통 얽히어 있는 것이 보통이라는 점 또한 간과된 부분이 아닐까 싶었다.

 

 그래도 이 책 외계인회사에 출근하다는 스트레스가 가득하기 마련인 직장에서 쉽지 않은 인간 관계를 비교적 폭넓은 관점에서 잘 풀어서 이야기하고 있는데그래도 아쉬움이 남는다면 성공하는 직장인은 대화법이 다르다'와 같은 책을 함께 읽는다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