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 'The Piano, 피아노'는 몇 가지 즐거움을 주는 영화다. 즐거움을 가지기에 충분한 탄탄한 스토리에 아다 맥그래스를 연기한 Holly Hunter 홀리 헌터와 조지 베인즈를 연기한 Harvey Keitel 하비 케이틀의 뛰어난 연기, 그리고 'The Piano' 라는 제목이 암시해주는 영화 속 피아노 음악 소리가 바로 그것이다.

 역시 깐느와 아카데미에서 선택하기에 모자람이 없구나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말을 하지 못하는 대신 자신의 심정을 피아노 선율로 들어내는 아다, 예쁜 아내를 사랑하지만 진정으로 이해하지는 못하는 남편 스튜어트 그리고 그저 단순한 원주민인 줄만 알았다가 그렇지 않다는 걸 보여주는 배인즈 간의 슬프고도 예쁜 그리고 잔인한 사랑이야기가 바로 이 영화 'The Piano'이다.

 의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는 아다의 심정과 그녀의 심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해 주는 그녀의 의상도 살펴 볼 꺼리가 될 것 같다.




                                     &


        겨울 강가에서

                                 - 안 도 현

어린 눈발들이, 다른 데도 아니고
강물 속으로 뛰어내리는 것이
그리하여 형체도 없이 녹아 사라지는 것이
강은,
안타까웠던 것이다

그래서 눈발이 물 위에 닿기 전에
몸을 바꿔 흐르려고
이리저리 자꾸 뒤척였는데
그때마다 세찬 강물 소리가 났던 것이다

그런 줄도 모르고
계속 철없이 철없이 눈은 내려,
강은,
어젯밤부터
눈을 제 몸으로 받으려고
강의 가장자리부터 살얼음을 깔기 시작한 것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영화 'Everyone Says I Love You'는 1996년에 개봉한 거의 10년이 지난 영화다. 10년이면 짧은 시간이 아니고 지금의 정서와 많이 다른 정서로 영화가 만들어졌을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으면서도 별 고민 없이 영화 'Everyone Says I Love You'를 봤다. 그건 아마 Woody Allen, 우디 알렌이 감독을 맡았고, 그의 영화하면 기억의 저편에서 내게 떠오르는 'SmallTime Crooks, 스몰 타임 크룩스'가 나쁜 느낌이 아니어서 보게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뮤지컬 영화라는 설명도 선택의 한 이유가 되었고.

 그럼 보고 나서는? 아쉽게도 내 스타일과는 별로 맞지 않는 영화다. 그럼 내 스타일이 뭐냐는 정말 어려운 질문이 응당 나올텐데, 내 스타일이 뭔지는 아직까지 확언할 수 없어도, 시나리오가 비교적 현실에 기반한 것 같지 않고 내게 보이는 논리적 전개가 잘 짜여있지 않아 보이는 영화는 분명 내 스타일의 영화는 아니다. 그리고 적어도 내게는 그렇게 다가 왔다.

 왁자지껄 늘 시끄러운 가족이야기와 내 상식 밖의 에피소드 같은 것들이 내게는 그저 그렇게 보였지만 같이 본 동생에게는 재미있게 보였다니 이건 순전히 개인차 일 수도 있겠다.

 눈에 띄는 출연진만 해도 Woody Allen에 Drew Barrymore 드류 배리모어, Edward Norton 에드워드 노튼, Natalie Portman 나탈리 포트만, Tim Roth 팀 로스 그리고 Julia Roberts 줄리아 로버츠 까지 쟁쟁한데 Woody Allen을 제외하고는 영화를 보는 중에 누가 누군지 구분하는 것조차 힘들었다는 걸 보면 흥행 여부와는 상관없이 썩 잘 만든 영화는 아니지 않나 싶다.




                             &



그대가 없으면 나도 없습니다

                              - 김 현 태

왜 그대인지
왜 그대여야만 하는지
이 세상 사람들이
허락하지 않는다 해도
그대여야만 하는 이유가 내겐 있습니다
한 순간, 한 호흡 사이에도,
언제나 그대가 있기 때문입니다
허공의 옆구리에 걸린
잎사귀 하나가
수 백번 몸 뒤척이는 그 순간에도,
아침햇살의 이른 방문에
부산을 떨며 떠나는 하루살이의 뒷모습에도,
저미는 내 가슴을 뚫고 자라나는
선인장의 가시 끝자락에도
그대가 오도카니 자리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거대한 운명 같은 그대여
죽어서도, 다시 살아도 지울 수
없는 사람아
그대가 없으면 나도 없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