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금 이야기 하려는 책은 로마인 이야기 10: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이다. 이 책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를 이야기 하면서 여러 번 했던 이야기가 바로 정통 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책들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이었다. ‘로마제국 흥망사를 바롯한 여타의 로마 역사서에서 볼 수 없었던 작가의 독특한 시각과 과감한 상상력이 수많은 사람들을 독자로 만들었는데, 그런 특징이 또 다시 잘 들어나는 책이 바로10권 로마인 이야기 10: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편이다. 10권은 앞선 책들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황제를 둘러 싼 이야기가 아니다. 그 시대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단어인, 로마 사회의 인프라에 관한 이야기가 바로 10권의 내용이다.

 10권의 이야기는 인프라에 대한 이야기다. 사실 책에서 책 속 저 옛날 로마 시대에는 인프라라는 단어가 없었다고 고백한다. 지극히 현대적 시각에서 생긴 단어라는 말의 반증이다. 그런데 그런 사회 인프라가 로마인의 삶에서 보인다. 저자는 그것을 현대적 관점에 따라 하드 인프라와 소프트 인프라, 둘로 나누어 설명한다로마제국이라면 어디라도 연결되어있는 도로와 다리 이야기, 그 연결망을 통해 살아간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맑을 물을 공급하는 수도가 저자가 책에서 이야기하는 하드 인프라다. 그리고 소프트 인프라는 의료와 교육을 예로 들어 이야기한다.

 사실 10권의 내용은 영웅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도로니 다리니 수도니 혹은 의료나 교육 시스템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해 끝난다. 그런데도 10권의 재미는 전편들에 비해 반감되지 않는다. 오히려 로마제국의 진정한 힘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는 편이 더 적당하다로마가 알렉산더나 칭기스칸 같은 영웅들의 나라였더라면 그들의 나라처럼 금세 세계의 제국으로 떠올랐다가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지고 말았을 것이다. 로마가 그들의 나라와 무엇이 달랐고, 무엇이 오랜 동안 제국을 유지 할 수 있게 해 주었는지가 이 책에 나온다걸출한 영웅들에 의한 나라이기 보다는 공공의 이익을 사익 보다 더 앞세울 줄 아는 지도자와 국민에 의한 나라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사회 인프라를 통해 조성했다는 사실을 저자는 지적한다.

 Tracked from 그래도 살아 그래서 사.. at 2009/03/21 18:25 x

제목 : 로마인 이야기 10권-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로마인 이야기. 10: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카테고리 역사/문화 지은이 시오노 나나미 (한길사, 2002년) 상세보기 저자가 로마인 이야기 1권을 집필할 때부터 전체 15권 중 한권은 로마인이 구축한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이야기만 하고 싶었다는 계획을 실행한 10권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가도, 다리, 수도 등 우리가 흔히 인프라라고 부르는 사회간접자본과 가도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스템(저자는 이 부분도 하드......more

반응형
반응형


 제목이 인상적인 공연을 가끔 만나게 되기는 하지만 연극 그 놈은 없고 그녀는 갔다는 제목이 주는 인상이 더욱 강한 극이었다. 거기에 지미, 총알, 덧니 그리고 구찌란 이름의 4명의 등장 인물의 이름만도 무엇인가 현실과는 괴리가 있는 그런 이야기가 되겠구나 하는 예상을 하게 만들었다.

 늘 그렇듯 극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관람한 탓에 연출자가 극을 통해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쉽게 알아차릴 수 없었다. 그저 내가 살아가는 치열한 현실과는 괴리된 채 살아가는 연인들의 무의미한 일상의 연속과 그 안의 퇴폐 말고는 보이는 게 없었다. 키스, 싸움, 섹스, 춤과 노래 그리고 마약까지. 어떠한 사회적 구속도 거부한 채 그들만의 자유분방함 같은 것들은 있었지만 거기에 현실에 대한 허황됨도 함께 가지고 있는 탓에 짐 모리슨을 동경하는 모습까지도 어딘가 자연스럽지 않았다거기에 처음으로 연극을 통해 눈앞에서 본 동성애 코드와 마약의 환각 상태에서 극중 인물들이 나누던 대화까지 극을 통해 내가 느낀 부자연스러움은 결국 불편함까지 가고 말았다.

 시나리오를 쓴답시고 선배의 작업실을 빌려 음악과 술에 젖어 사는 지미, 지미와 다투고는 BMW를 가진 돈 많은 옛 연인에게 전화하는 덧니, 유흥업소에서 일해보려 하지만 금새 나온 구찌 그리고 유흥업소에 일하게 된 구찌를 떠받들며 차로 데려다 주는 총알. 거기에 술, 담배, 섹스, 마약… 우울하고 철없는 한심한 인생들의 모습이라는 말 말고는 할 수가 없다. 비록 그들 사이에 사랑이라는 감정을 이입시켜 보려 하긴 하지만 그런다고 그들의 모습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희망이라고는 눈곱만치도 보이지 않는 그들의 모습을 통해 보여주려 한 것은 이 시대가 가져온 청년 실업이라는 내 또래에게는 꽤나 심각한 문제였을까? 실은 잘 모르겠다.

 연출자가 극을 통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찾기보다는 극 중 내용이 가져다준 불편함과 알 듯 말듯한 내용이 가져다 준 충격이 훨씬 인상적인강렬했던 공연이었다.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머리  (0) 2007.06.22
아이를 가지다  (0) 2007.06.07
위대한 세기_피카소  (0) 2007.03.18
뮤지컬 터널  (0) 2006.12.26
윤효간 피아노콘서트 <피아노와 이빨>  (0) 2006.11.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