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들의 지나친 환호는 나와 같은 냉소주의자를 흥분하게 만든다그래서 분명히 있을 환호의 이유를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코웃음치기 십상이다영화 왕의 남자’ 역시 그랬다.  500백만, 600백만 관객이라던 것이 어느덧 1000만이 넘어서고 1200백만을 넘기는 한국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웠다는 이야기나 여자보다 더 예쁘다는 이준기의 이야기를 들을 때면 그 인기의 이유를 살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채동성애 같은 흥미가 대중의 코드와 운 좋게 맞아 들어간 행운의 결과일 뿐이라고 생각했다그런 탓에 1200백만의 관객이 든 영화였지만 과감히 외면했다.

 

 그러다가 정말 우연치 않게 영화를 봤다아마도 찾아서 봐야 했으면 보지 않았을 것이다그냥 틀기만 하면 되고 때마침 할꺼리 없이 심심했기 때문이다그러면서도 감독의 이름을 보고는 인상을 찌푸렸다감독 이준익이 사람의 전작 황산벌을 봤고영화 황산벌은 내게 아무런 인상도 남기지 못한 시간 때우기에도 아까운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  영화 왕의 남자를 보다 보니까 전작과는 완전 딴판이다나와는 전혀 코드가 맞지 않는 코미디가 아니라이건 완전히 정치 영화다권모술수(權謀術數)가 횡횡하며 그 속에 사람의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조선시대 정치 영화다그런데데도 .. 흥행에 성공했다그것도 1200백만의 관객을 넘어섰다영화나 연극 흥행의 바로미터가 되어 버린 20대 젊은 여성의 감성과는 전혀 맞지 않을 것만 같아 보이는 조선시대 정치 이야기가 그들의 선택을 받았다영화를 보는 내내 놀라울 따름이었다.

 

 이준기이런 놀라움을 만든 요인 중 하나는 바로 이 배우 이준기이다.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를 TV 속 광고에서 떠들더니 그것이 유행어가 되어버린 그수 많은 여성들이 그의 외모를 보고 예쁘다느니 잘 생겼다느니 하는 것에 전혀 동의 할 수 없지만 내 기호가 곧 대중의 기호일 수 없는 법피바람 몰아치는 궁궐 속 알력 싸움의 진지함이 가져오는 딱딱함은 배우 이준기가 보여주는 공길의 모습에서 이내 부드러움으로 바뀌고 말았다거기에 카리스마 있게 나오는 장생은 젊은 여성들은 물론 남성들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가히 평단과 대중의 찬사를 받기에 아낌 없는 영화다편견 탓에 보지 않고 지나갈 뻔 했지만명불허전(名不虛傳)이라는 말이 괜히 생긴 것이 아니라는 걸 여실히 보여준다탄탄한 구성에 적절한 배우의 연기와 캐스팅이 얼마나 많은 관객을 열광시킬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 영화였다추천하기에 아낌 없는 영화.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마뱀  (0) 2007.07.26
다빈치 코드, The Da Vinci Code  (0) 2007.07.09
글래디에이터, Gladiator  (0) 2007.06.12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0) 2007.06.06
피아니스트, The Pianist  (0) 2007.05.28
반응형

생각보다 훨씬 사는게 힘겹다.

그나마 이성과 감성의 같은 곳을 바라보면 좋을텐데

이성과 감성이 다른 말을 하니 힘겨움이 더 하다.

무럭무럭 자라라

그래서 이런 것들도 다 포용할 수 있게끔.


 

3년 하고도 1달 정도 전에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며 남겼던 글이다.

그 때 뭐가 그렇게 힘들었는지무엇을 바라 보았기에 이성과 감성이 서로 다른 말을 했는지그리고 정말 3년이 지난 지금은 모든 것들을 다 포용할 수 있으리만큼 무럭무럭 자랐는지?

 

 그래요... 무럭무럭 자라는 수 밖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네요...
시간이 해결해 주겠지요..?


 내 신세한탄의 글에다가 가끔 가서 구경하던 블로그의 주인이 남겨 준 덧말이다시간이 해결해 줄 것이라고 했는데정말 해결해 줬는지 모르겠다.

 

 급작스레 이런 감성에 빠진 건 책 한 구절을 보고 나서다세부(detail)에 신경 쓰느라 전체를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넌지시 알려주는 이야기였다나 아닌 다른 사람들도 정신 없이 살아가는 삶 속에서 잠시 뒤돌아 볼 수 있는 여유가 생겼으면

 

 

오늘은 낮 동안 줄곧 그림을 그렸다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한 해바라기 꽃무리인데 짙푸른 하늘색 내기가 아주 힘들었다.

그림을 그리면서 늘 느끼는 것이지만한 번으로는 대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대상을 아무리 수십 수백 번 들여다보아도 직접 그려보지 않고는 제대로 파악한 것이 아니다. ‘백문이불여일견(百聞而不如一見)’이란 말이 딱 맞는다.

그런데 한 번 그려 봐서는 부족하다두번 세번 그려 보면 처음 그린 것이 얼마나 허술하고 엉성한 것인지 알게 되지.

 

 또 한가지디테일과 전체의 조화 문제.

디테일 처리에 빠져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그리다 보면 전체적 조화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초보자들은 디테일이 모여 전체적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알고 디테일에 치중하지만사실은 그 반대다.

디테일은 전체와의 관련 속에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그래서 한번 그려 놓고 꼭 전체와의 조화를 확인해 보아야 하는 거다.

아니 애초에 전체와의 조화 속에서 디테일을 그려 나가야 한다.

 

이 두 가지 원칙은 인생살이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첫째실천의 중요성실천을 하되 지속성이 있어야 할 것.

둘째어떤 일을 할 적엔 반드시 전체와의 연관 속에서 그 일을 추진할 것.

 

 끈기를 가지고 행하되 조화와 균형 속에서!”

 

-      야생초 편지 74 쪽에서


반응형

'Dr. Q'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득....  (0) 2007.08.20
야생초 편지 2  (0) 2007.07.09
내가 바라는 내 자아상  (0) 2006.09.19
친절한 사람, 정의로운 사람 그리고 도덕적인 사람  (0) 2006.07.18
어느 날 문득  (0) 2006.07.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