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 한반도, Hanbando’는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으로 시간을 돌려 그 때의 한일 관계에서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시간적 관점에서만 보면 100여 년 전 명성황후 시해를 시작으로 이야기를 풀어 나갔는데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는 지나치게 과거 지향적인 내용이었다는 느낌이 관람 후에 들었다마치 한일관계에 대한 인식이 철저하게 과거에 대한 분노를 곱씹은 나머지 현재 시련에 대처할 준비까지는 생각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딱 관람 후의 느낌이 그랬다.

 

어찌 되었건이 영화 한반도, Hanbando’의 이야기를 크게 이끌어 가는 사람은 크게 사학계의 이단아 최민재 박사(조재현), 대통령(안성기), 국무총리(문성근그리고 국정원 서기관(차인표이렇게 네 사람이다이들 네 사람이 100년 전 과거의 일을 놓고 각자 나름의 판단을 통해 영화 속 사건을 엮어 간다.

 

 영화감독 김기덕의 페르소나(persona)의 모습으로 보일 만큼 독립영화에서 강력한 인상을 남긴 조재현의 이미지를 그대로 차용한 모습을 볼 수 있는 사학계의 이단아 최민재의 모습과 비록 MB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서 많은 국민들이 이전 그들의 선택이 진정으로 옳은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들었던 현직 대통령 노무현 과 비슷한 느낌을 가질 수 있었던 대통령 안성기국가나 국민의 자존심 보다는 실질적인 국민의 먹고 살 거리가 더 중요 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국무총리의 모습을 잘 보여 준 문성근 그리고 처음에는 총리파 인물로 보이다가 나중에는 대통령파 인물로 나타나 영화 관람 시 내내 정확한 그의 정체를 가늠하기 힘들었던 국정원 서기관 차인표이렇게 4명이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를 내용을 이끌어가는 주요 인물이다이들을 통해 100여 년 전 일어났던 명성황후 시해와 한일 합방을 모티브로 삼아 그때의 결정이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는 모습을 과감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를 관람하면서 일본에 대한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민이 갖는 감정에 대해 한참을 생각해볼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깊은 숙고(熟考)의 결과아직까지도 일본에 대해 우리가 이야기 할 때는 이성적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하지만결국은 감성적으로 그 내용이 흘러버리는 우리의 모습을 이 영화의 감독이 보려 주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었다..

 

 과거 일제 시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통해 친일파의 후손이 더 이상 독립 기념관 관장이 되는 모순적 사회 형태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앉아야겠다는 생각은 영화를 관람 후 내가 가질 수 있었던 사회 윤리의 한 모습이었다.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는 시도 때도 없이 민족주의와 반일감정에 대한 몰입을 통해 관객의 관심을 얻으려는 모습에 실망감을 감출 수 없기도 했지만아직도 과거 지향적 자세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게 남는 영화였다.

 

 개인적은 의견으로는 고로 챙겨 볼 만큼의 영화는 되지 못했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지, Daisy  (0) 2008.02.09
헷지, Over the Hedge  (0) 2008.02.02
아메리칸 드림즈, American Dreamz  (0) 2008.01.13
달콤, 살벌한 연인  (0) 2007.12.30
스텝업, Step Up  (0) 2007.12.24
반응형
 
 장소 : 대학로 두레홀 4관(구. 아룽구지 소극장)
 일시 : 2008_01_08 p.m. 8:00

 뮤지컬 랩퍼스 파라다이스 시즌3, RAPPER’S PARADISE’ 라는 이름을 보았을 때나는 이 공연 뮤지컬 렙퍼스 파라다이스 시즌 3’는 독특한 기대를 가져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을 바로 할 수 있었다분명히 대사 전달을 랩을 통해 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쉽지 않아 보이는 도전을 어떻게 완수 할 것인지에 대한 기대감이 바로 그것이었다.

 

 뮤지컬 랩퍼스 파라다이스 시즌3’는 유명한 힙합 갱스터 랩퍼인 투팩, Tupac Amaru  Shakur와 노토리어스 비아이지, Christopher George Letore Wallace  사이에 얽힌 이야기를 극으로 풀어낸 공연이었다갱스터 랩은 그 의미에서 오는 부정적 어감 때문에 그들의 음악을 제대로 감상해 볼 생각조차 하지 않은 장르였지만 그래도 투팩의 이름 정도를 알고 있었고노토리어스 비아이지는 이 공연이 아니었으면 아예 몰랐을 이름이었다거기에 예전 베이비 복스가 그들의 곡에 투팩의 리듬을 샘플링한 것을 가지고 수많은 언더그라운드 래퍼들이 반발했던 이유가 무엇이었을까 하는 의문 정도가 투팩과 비아이지의 이름을 접하고서 든 생각이었다.

 

 이 공연의 중심적인 인물은 앞서 언급했듯이투팩과 비아이지 둘이다그리고 거기에 두 남자 사이의 한 여인 페이스 에반스, Faith Renee Evans 와 지금은 이름을 디디로 개명한 Puff Daddy, Sean Puffy Coms 가 에반스와 함께 음모를 꾸미는 인물로 등장한다이들의 우정과 배신그 속의 여인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잇속을 챙기는 프로듀서의 이야기가 바로 뮤지컬 랩퍼스 파라다이스 시즌3’의 이야기다.

 

 사실 이 극의 스토리를 중요시 하는 형태는 아니므로스토리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서 그만 접자대신 관심을 가지고 볼 것은 랩과 춤이다수많은 투팩과 비아이지 그리고 퍼프 대디의 노래를 한글로 번안하고 다시 랩의 리듬의 맞춰 무대에서 부른다영어 노래를 그대로 쓰면 좋았겠지만대사의 역할을 하는 랩인 만큼 관객이 알아 들을 수 없으면 안 된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서 오랜 준비를 통해 별 어색함 없이 한국 랩으로 바꾸어 노래 부르는 모습이 대단했다거기에 간간히 등장하는 b-boy 풍의 댄스와 화려한 무대도 찬사가 아까울 것이 없는 볼거리이다.

 

 그렇지만 대사 전달을 랩을 통해서 하는 것이라면 보통 랩을 할 때 보다 관객들이 더 알아듣기가 쉬워야 대사로써 역할에 충실한 것인데극 초반의 랩은 익숙지 못한 탓인지 알아듣기가 힘들어대사 전달 매개로서 역할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였다그리고 마이크나 음향 부분에 있어 확실한 사전 체크 같은 사소한 문제 역시 완벽한 공연으로 가기에서 조금 아쉬움이 있었다.

 

 그렇지만 정말 열정적이고 신나는 공연이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몸짓을 통해 극을 이끌어 갔던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나 사랑하면 춤을 춰라와는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었던 공연 뮤지컬 랩퍼스 파라다이스 시즌3’

 

관람해 보기를 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