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한반도, Hanbando’는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으로 시간을 돌려 그 때의 한일 관계에서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 시간적 관점에서만 보면 100여 년 전 명성황후 시해를 시작으로 이야기를 풀어 나갔는데,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는 지나치게 과거 지향적인 내용이었다는 느낌이 관람 후에 들었다. 마치 한일관계에 대한 인식이 철저하게 과거에 대한 분노를 곱씹은 나머지 현재 시련에 대처할 준비까지는 생각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 딱 관람 후의 느낌이 그랬다.
어찌 되었건,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의 이야기를 크게 이끌어 가는 사람은 크게 사학계의 이단아 최민재 박사(조재현), 대통령(안성기), 국무총리(문성근) 그리고 국정원 서기관(차인표) 이렇게 네 사람이다. 이들 네 사람이 100년 전 과거의 일을 놓고 각자 나름의 판단을 통해 영화 속 사건을 엮어 간다.
영화감독 김기덕의 페르소나(persona)의 모습으로 보일 만큼 독립영화에서 강력한 인상을 남긴 조재현의 이미지를 그대로 차용한 모습을 볼 수 있는 사학계의 이단아 최민재의 모습과 비록 MB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서 많은 국민들이 이전 그들의 선택이 진정으로 옳은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들었던 현직 대통령 노무현 과 비슷한 느낌을 가질 수 있었던 대통령 안성기, 국가나 국민의 자존심 보다는 실질적인 국민의 먹고 살 거리가 더 중요 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국무총리의 모습을 잘 보여 준 문성근 그리고 처음에는 총리파 인물로 보이다가 나중에는 대통령파 인물로 나타나 영화 관람 시 내내 정확한 그의 정체를 가늠하기 힘들었던 국정원 서기관 차인표. 이렇게 4명이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를 내용을 이끌어가는 주요 인물이다. 이들을 통해 100여 년 전 일어났던 명성황후 시해와 한일 합방을 모티브로 삼아 그때의 결정이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는 모습을 과감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를 관람하면서 일본에 대한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민이 갖는 감정에 대해 한참을 생각해볼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깊은 숙고(熟考)의 결과, 아직까지도 일본에 대해 우리가 이야기 할 때는 이성적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하지만, 결국은 감성적으로 그 내용이 흘러버리는 우리의 모습을 이 영화의 감독이 보려 주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었다..
과거 일제 시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통해 친일파의 후손이 더 이상 독립 기념관 관장이 되는 모순적 사회 형태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앉아야겠다는 생각은 영화를 관람 후 내가 가질 수 있었던 사회 윤리의 한 모습이었다.
이 영화 ‘한반도, Hanbando’는 시도 때도 없이 민족주의와 반일감정에 대한 몰입을 통해 관객의 관심을 얻으려는 모습에 실망감을 감출 수 없기도 했지만, 아직도 과거 지향적 자세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게 남는 영화였다.
개인적은 의견으로는 고로 챙겨 볼 만큼의 영화는 되지 못했다.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지, Daisy (0) | 2008.02.09 |
---|---|
헷지, Over the Hedge (0) | 2008.02.02 |
아메리칸 드림즈, American Dreamz (0) | 2008.01.13 |
달콤, 살벌한 연인 (0) | 2007.12.30 |
스텝업, Step Up (0) | 2007.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