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광수 지음 | 에이원북스 | 2008 4

 

 즐거운 사라를 비롯한 몇몇의 책에 대한 외설 여부로 언론매체에 소개 된 것을 계기로 작가 마광수를 알게 되었다하지만 그의 책을 읽을 기회도 그리고 굳이 그의 책을 찾아서 읽을 필요도 없었기 때문에 내게 그에 대해서 아는 것이라고는 언론매체에서 떠드는 것뿐이었다그러다가 최근 한 개그 프로그램에서 명문대 마교수라는 캐릭터로 활동하는 개그맨을 보고 잠깐 작가 마광수에 대한 기억을 떠올릴 수 있었고 그리고 지금 이야기하려는 책 모든 사랑에 불륜은 없다를 읽어 볼 기회도 갖게 되었다.

 

 사실 책을 읽기 전부터 책에 대한 관심은 매우 큰 편이었다우선은 논란거리의 중심에 있는 저자의 책이라는 점이 그 첫 번째 이유였고수 많은 논란 속에서 과연 그의 책을 직접 읽어 보고서 말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하는 궁금증은 두 번째 이유였다그리고 그 궁금함에는 논란 속의 사람들이 간과(看過)하고 있는 작가만의 가치가 있을 것 같은 기대치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책 모든 사랑에 불륜은 없다에서 저자 마광수가 이야기하려고 하는 바는 위선과 이중성에 대한 비판으로 보였다그리고 그 속에서 뿌리 박힌 도덕주의적 관점으로 인해 성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지 못하는 사실을 개탄하는 것으로 보였다그리고 결국 저자 자신은 금지된 것에 대한 끈임 없는 도전을 하는 사람이고 야한 것이 좋다고 당당히 밝히는 것 또한 그 연장선 상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을 읽어 가면서 가장 공감했던 부분은 우리나라 문학은 지나치게 교양주의적인 지적이다내가 읽어 온 책의 자취만 봐도 사람이 살아가면서 생기는 생각과 감정에 주목해 이야기를 풀어가고 작가의 가치관을 독자에게 이야기하는 책보다는 책을 읽어 나가는 것을 통해 내가 지적인 수준을 채워주는 느낌이 주는 책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쉬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우선은 문화 비평집이라는 점을 제목에 당당히 밝히고 있지만책의 많은 부분에서 직간접적으로 자신을 옹호(擁護)하는 내용이 많았기 때문이다또한 1990년을 전후에 쓴 글이 책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2008년에 출판한 문화 비평집이라고 이야기하기에 적당하지 않았다.


 Tracked from 파아랑(ahnjinho) at 2009/08/11 01:33 x

제목 : 모든 사랑에 불륜은 없다 - 자유로음 또는 솔직함
모든 사랑에 불륜은 없다 - 마광수 지음/에이원북스 고무풍선기린 님이 보내주신 책. 지난 번에 읽은 마광수 교수

의 책 -2009/07/10 - [문학] - 발랄한 라라 - 솔직한 성 표현과 상상력- 아무 것도 모르고 읽었던 발랄한 라라의 

과감함과 솔직함

/자유로움에 놀

라기도 했지만, 이번 책도 예상 밖의 책이었다. 발랄한 라라와 비슷할 것이라고 생

각했는데, 에세이 

식으로 나름 차분한 어조로 

말하기 때문. 물론, 표현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내용에서......more

 Commented by 12 at 2009/05/13 07:31  
...작가가 무슨 말을 하고싶은지는 대표글만으로도 이해가 갑니다만......

본뒤에 드는 생각...

니 마누라가 바람나 봐야 불륜이 없단 소릴 안하지 -_-;ㅋㅋㅋㅋ
 Commented by 고무풍선기린 at 2009/05/13 14:28 
이유는 무엇인지 몰라도
부인과 헤어진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랑을 계속 탐구하는 것으로
제게는 보였습니다.

 Commented by 파아랑 at 2009/08/11 01:33  
제대로 읽었는지 모르겠네요...그저 보내주신 책 가볍게 읽어보았습니다.^^:
 Commented by 고무풍선기린 at 2009/08/12 00:45 
이글루스까지 찾아오셔서 덧말 남겨주셨네요. ^^

가법게 읽어 보셨다니 다행입니다.
 Commented by 빨간구두아가씨 at 2010/08/27 21:42  
8월 28일 토요일 오후 4시! 신촌현대유플렉스에서!! 신촌의 문화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마광수 (연세대교수)를 초
청하여 김노암
 아트디렉터와 팝아티스트 강영민이 자유롭게 풀어가는 신촌과 젊은이 문화에 대한 흥미진진한 토크
쇼에 초대합니다. 12층 갤
러리에서 마광수를 포함한 16명 현대작가들의 작품도 전시중이오니 오셔서 함께 관람하
세요.^^  
현재 공식블로그에서 무료티켓 접수중이오니 꼭 참여하셔서 좋은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관람한 영화를 떠올리면, 누구나 먼저 생각하는 것이 있기 마련이다. 그 대상은 등장 배우가 되기도 하고 감독이 되기도 하고 혹은 영화 음악이나 인상적인 장면이 되기도 한다. 이런 측면에서 영화 '미녀는 괴로워'를 생각하면, 내게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에 남는 건 배우 김아중이다.


 내가 배우 김아중을 꼽는 건 사실 이 영화 미녀는 괴로워에서 배우 김아중을 처음 본 게 아니기 때문이다영화 광식이 동생 광태에서 이미 배우 김아중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그때까지만 해도 영화 광식이 동생 광태에서 보여준 섹시한(sexy)한 모습의 등장인물이 갖는 한계를 넘어서지 못하고 곧 사라져버릴 것으로 생각했다그런데 예상과 달리 영화 미녀는 괴로워를 통해 대박 스타로 등장했으니영화를 떠올리면 내용보다 그녀가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

 

 사실 이 영화 미녀는 괴로워는 관객이 전혀 예상치 못한 기발한 이야기로 전개되는 형태의 영화는 아니다노래는 잘하지만 못생겨서 가수의 꿈을 이루지 못한 주인공이 성형수술을 통해 미녀로 거듭나고 그로 인해 가수로써도 큰 성공을 거두지만 그 결국은 자신의 셩형 사실을 고백하게 된다는 것으로 이야기를 통해 즐거움을 얻기에는 사실 부족하다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대신 뻔히 예상할 수 있는 이야기를 가지고서도 관객의 눈높이와 기대치에 잘 부응하면서 진부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전개해 나가기 때문이다 500만이 넘게 든 관객은 그것이 식언(食言)이 아님을 증명해 주기에 충분하다.

 

 거기에 임현식이원종이한위성동일 그리고 박노식에 이르기까지 재미난 조연들의 열연은 영화를 관람하면서 얻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다.

 

 영화를 보고 나서 떠오른 생각.

1.   나는 성형수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지?

2.   진짜 아름다움이란 뭘까?

 

1.   사실 나는 성형수술이라는 단어에 대해 별 느낌이 없었다요즘 들어서는 성형수술이 남성에게서도 특별하지 않을 정도로 보편화되었다는 소식을 언론매체를 통해 익히 접해 왔지만주위 사람들을 둘러보면 성형에 대해 관심을 가진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최근에 성형 수술을 한 친구가 생겨서 성형 수술이 전혀 남의 이야기가 아니게 되었고그 친구를 보면 성형수술을 통해 더 자신감을 가지고 밝아진 모습을 보았다비록 내가 앞장서서 성형수술을 하거나 권하지는 않겠지만자연미를 운운하며 성형수술을 받은 사람을 비꼬아보는 시선에서는 물러설 수 있게 되었다.

 

2.   진짜 아름다움이 무엇인지는 사실 나도 잘 모른다그렇다고 해서 눈에 비치는 예쁜 모습을 보고서 그것이 진정한 아름다움이 아니라고 할 생각도 없다지나가는 예쁜 사람을 보고 아름답다고 나도 생각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눈에 보이는 것으로만 아름다움을 판단하고 싶지도 않다그렇게 되면 잘생기지 못한 나와 같은 사람들은 늘 자괴감에 빠져서 살아가야 할 터이니 말이다사실 아름다움이라는 걸 한 마디로 이야기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내 경우에만 비추어 봐도 시간에 따라 장소에 따라 그 기준이 변하기 때문이다하지만요즘 들어 자주 생각하는 건 자신에게 솔직한 모습에 대한 아름다움이다전에는 처음 보는 사람에 앞이면 늘 진짜 내 모습보다 더 잘 보이기를 원했는데지금은 그냥 내가 가진 만큼만 나를 봐줬으면 좋겠다아직까지 빛을 발하지 못한 내 잠재력까지 봐줄 수 있으면 더 좋겠지만섣불리 그러다가 진짜 내 모습보다 과대평가하기를 바라지 않는다이건 내가 다른 사람을 볼 때도 마찬가지이다그 사람의 외모나 사회적 지위에만 가치를 두지 않고더 나아가 참 모습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Tracked from 여행님의 이글루 at 2008/11/06 21:36 x

제목 : 미녀는 괴로워 (Pounds Beauty, 2006)
뉴스에서 종종 성형수술을 받다가 사망한 기사를 접하곤 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의 성형열풍은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제는 성형수술이 별 거부감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분위기인 것 같기도 하다. 심지어 성형수술을 권하는 경우도 있으니. 시대가 변하면서 성형수술에 대한 우리들의 시선도 최근 얼마 전에 비해 엄청난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외모로 인한 자신감 상실을 성형수술로 커버할 수 있다면 괜찮은 주장도 부정할 수만은 없지만 중요한 것......mor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