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한균 지음 | 아우라 | 2008년 4

 

 역사소설은 국내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소설 분야이다비록 소설의 내용이 실제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더라도 소설의 시대 상황과 인물들의 특징을 책을 읽어 나가면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소설은 스스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였다그러던 차에 도예가인 신한균의 신의 그릇을 읽을 기회를 갖게 되었다사실 근대 시대 이전에 도자기가 갖는 중요성은 지금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중국과 일본에서 서구에 수출되어 가졌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도자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사용된 과학기술의 가치까지 현재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이 갖는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분야가 바로 도자기였다게다가 일본 도자기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이 조선의 많은 도공이 일본으로 붙들려 간 임진왜란 이후 사실 또한 익히 알고 있었기에 이 책 신의 그릇은 읽기 시작 할 때부터 관심을 둘 수 있는 거리가 많은 책이었다.

 

 소설 신의 그릇의 내용은 책을 접하기 전부터 예상했던 대로조선의 도공이 일본에 잡혀간 이야기였다열심히 도자기를 구워 살아가던 이 책의 주인공 신석의 가족은 왜란 이 후 일본에 가져갈 도자기를 굽게 되고그에 따르는 경제적 이익을 받게 된다하지만주인공은 그 이익을 어려움에 빠진 일반 백성과 함께 나누고 의병장 곽재우를 도와 조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다그러던 중 전쟁은 막바지에 이르고신석은 일본 사무라기 도공으로 봉해지고는 일본으로 잡혀 간다그리고 그곳에서 이삼평과 종전을 비롯한 조선 도공과 함께 일본인들이 바라는 자기를 만들지만조선에 대한 그리움을 잊지 못하고그들이 꿈꾸는 황도를 만들어 주기로 하고 조선을 건너 오는 이야기다.

 

 
 대부분의 역사소설은 소설이 가질 수 있는 자유로움은 갖기는 하되역사적 사실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는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다이러한 점은 이 책 신의 그릇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데그로 인해 책을 조금 읽어 나가자 마자 저자가 펼칠 수 있는 줄거리가 예상되었고실제 책의 내용 역시 예상에서 크게 빗나가지 않았다게다가 저자가 원래 도예가였다는 점이 도자기를 굽는 과정과 도자기에 대한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뛰어난 전문지식을 활용해 독자에게 잘 전달했지만작가란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을 책을 통해 표현해야 하는 것을 떠올리면 도자기 제작과정과 그 설명에 비해 작가의 생각과 가치관에 대한 표현은 미흡하지 않았나 싶었다.

 

 물론 신석이라는 한 도공의 삶과 그의 도자기에 대한 열정에 대한 부분은 분명 책을 통해 작가의 의도가 잘 표현된 것은 분명하나하지만 그 모습이 역사소설에서 흔히 봐왔던 교양주의의 모습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반응형
반응형

히로 나카지마 지음 | 송수영 옮김 밀리언하우스 | 2008년 1

 

내가 읽은 부()에 대한 최초의 책은 바로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이다. High risk High return의 경제 원리를 바탕으로 수익율 높은 정크 본드나 혹은 투자용 부동산을 통해 얻어진 자산을 바탕으로 레버리지 효과를 이용해 최대한의 수익을 얻어 가야 한다는 것이 그 책의 주된 내용이었다하지만 이내 IMF 체제로 돌입으로 인해 로버트 기요사키의 주장은 거품 경제를 바탕으로 해야 가능 한 것일 뿐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리고 한 참의 시간이 지나고 나는 이 책 하와이로 간 젊은 부자의 성공비밀 38’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는 크게 말해 두 가지다현재 자신의 삶을 바꾸려는 의지가 가지는 중요성에 대한 인지와 만족할 수 있는 삶을 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일을 하면서 자신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일은 일반적으로 직장에서 하기 마련이다하지만 늘 만원 전철에서 시달리며 출근해서 직장에 억매여 오로지 일하는 통에 살기 위해 일을 하는지 일을 하기 위해 사는지를 모르는 사람이 되기가 다반사다 누구나 일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고 성취감을 맞봐야 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생계를 위해서라는 대명제 아래 그것은 한낫 구호에 그칠 뿐이다.  책에서 저자는 젊어서 은퇴한 뒤 남은 삶을 즐기며 사는 생활 = 현재의 삶을 바꾸고자 하는 의지 자신의 자산과 수입 +콤플렉스라고 정의 한다그래서 현재의 삶에서 대명제가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당장 쉽게 바꿀 수 없는 현재 자신의 자산과 수입에 주목하기 보다는 현재 삶을 바꾸고자 하는 의지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그리고 그것은 현재의 안주가 아닌 자신의 뇌가 가진 한계를 뛰어 넘는 도전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이야기 하며 자신의 사례를 알려준다.

 

여기에 더욱 중요한 것은 자족 할 줄 아는 삶을 사는 것이다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이 마련이어서 99마리의 양을 가지고 있으면 1마리를 더 채워 100마리의 양을 갖고 싶어하게 되고, 100마리의 양을 가져도 200마리를 가진 사람을 부러워하기 마련이다이렇게 계속해서 더 큰 부자가 되기를 바라기 보다는 자신이 만든 부자의 벽을 박차고 생존경쟁에서 벗어 날 수 있는 형태를 이루고 시간장소행동 그리고 경제에 있어서 속박되지 않고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면서도 더러는 잊어버리고더러는 생계를 위해 생각할 겨를이 없는 것들 일 뿐이다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장에 고급 아파트 그리고 외제 승용차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일에 얽매여 푸념이 그치지 않는 사람이 아닌 자신의 꿈꾸던 인생을 통해 의미를 찾아가는 삶을 살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일깨워 주는 책이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