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람일 : 2007_12_2  오후 3

공연장 : 청아소극장

 

 이 연극 사랑의 방정식을 보고서 맨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극단 미연이었다사실 연극 관람을 좋아한다고는 하지만 실상은 초자의 그것을 벗어나지도 못하는 수준에서 극단을 운운하며 이야기를 펼쳐나간다는 것은 심히 건방진 행동이란 사실을 익히 알지만그래도삼류배우’, ‘사랑을 주세요’ 그리고 달님은 이쁘기도 하셔라’ 까지 극단 미연에서 상연한 공연을 관람하고서 만족감을 나름대로 알고 있기 때문에 내 시건 방에 대해서는 지금은 덮어 두기로 하자.

 

 사실 삼류배우와 사랑을 주세요를 보면서 정통 연극이란 것이 있다면 이런 연극일 것이라고 관람하면서 생각했었고, ‘달님은 이쁘기도 하셔라의 경우는 일본극이 개인적 취향에 맞지 않아 극을 통한 즐거움은 앞선 두 편의 연극 보다는 덜 했으나뛰어난 배우들의 연기를 바탕으로 한 탄탄한 극이 주는 재미는 쏠쏠했었다그래서 이 연극 사랑의 방정식도 극단 미연의 공연 작이라는 것만으로도 내심 기대를 품기에 충분했다아무튼 이만 각설하고 연극 사랑의 방정식의 이야기로 넘어 가겠다.

 

 앞서 말했듯 연극 사랑의 방정식은 옴니버스 스타일의 연극이다공연 홍보 문구에는 열 가지 이야기로 구성된 것처럼 안내되어 있지만 실제 극에서는 여섯 가지 이야기로 구성된다대학로 연극 배우들의 연극 연습 이야기지하철 노점 판매원 이야기경찰서에서 형사와 용의자 이야기초등학교 동창회 이야기오래 전 헤어졌던 연인의 이야기 그리고 이민을 가게 된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그런데 극을 보면서 궁금했던 것은 과연 이 여섯 가지 이야기가 사랑의 방정식’ 이라는 카테고리 안에 들어가는 것일까 하는 점이었다특히 경찰에서 취조 받는 용의자와 형사의 이야기의 경우 그런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또 하나아직 연극이 시작한 초반이기는 하지만 가끔씩 배우들의 실수가 보인다는 사실앞으로 공연 횟수가 더 해가면 지금 보다 훨씬 더 좋아지리라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극단 미연의 극이기에 아쉬움이 더 크게 느껴졌다.

 

 삼류배우’, ‘사랑을 주세요’ 그리고 달님은 예쁘기도 하셔라에서부터 뛰어난 연기가 눈에 띄는 배우 이호석의 뛰어난 연기는 사랑의 방정식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는 사실도 반드시 집고 넘어 가야 할 사실이다.

 

 그간의 극단 미연의 작품에 비해서는 아쉬움이 남지만 관람하기에는 모자라지 않기에 추..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지컬 샤인  (0) 2007.12.21
로맨틱 코메디(루브) LUV – LOVE 죽여? 살려!  (0) 2007.12.09
멜로드라마  (0) 2007.11.22
뮤지컬 우리동네  (0) 2007.10.30
내가 가장 예뻤을 때  (0) 2007.09.02
반응형


 영화 글로리 로드, Glory Road’를 보고 난 느낌은 그야말로 딱 디즈니(Walt Disney) 가족 영화였다내게 디즈니 가족 영화는 온 가족이 함께 보기에 적당한 내용의 영화라는 의미가 되기도 하고 그 덕분에 지나치게 휴머니즘을 강조한 탓에 뻔히 보이는 내용을 가지고 감동을 짜내려 하는 영화라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이 영화 글로리 로드, Glory Road’ 역시 크게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인종차별 문제와 농구라는 스포츠에 대한 이야기다.

 

 사실 보통 이런 영화에서 관객에게 감동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종종 사용하는 것이 실화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다이 영화 글로리 로드, Glory Road’ 역시 그런 이유에서인지 인종차별이 만연하던 1960년대 미국 남부 텍사스의 텍사스 웨스턴 대학의 농구팀에 대한 이야기다매년 최하위를 맴도는 대학 농구팀에 부임한 감독은 팀의 재건을 고민하던 차에 인종차별로 인해 코트에서 뛰지 못하고 벤치를 지키는 흑인 선수가 눈에 뛴다어차피 충분한 예산을 가지고 뛰어난 선수를 스카우트 해 올 쳐지도 못되었기 때문에 감독은 자신의 여건에서 구할 수 있는 흑인 선수를 주목한다공장에 다니며 길거리 농구를 즐기는데다가 백인에 대한 피해 의식마저 가지고 있는 그들이지만 그래도 길거리 농구를 통해 익힌 개인기는 누구 못지 않다이런 선수들을 데리고 흑인은 안 된다는 사회적 편견에 맞서 싸우며 당당히 NCAA 결승에 올라 결국은 우승까지 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실화라 하더라도 대충 예상할 수 있는 스토리와 특별히 모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특별히 인상에 남을 만큼 인상적이지는 못한 배우와 감독을 가만하면 굳이 찾아서 볼만큼의 영화는 못된다그렇지만휴머니즘에 기초한 가족애와 인류애를 바탕으로 한 일련의 디즈니 영화 시리즈를 좋아하는 사람이나 혹은 감동적인 이야기를 좋아하는 관객이라면 기꺼이 한 번 찾아서 볼 만하다는 말도 아울러 덧붙이고 싶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짜  (0) 2007.12.18
13구역, 13th District / Banlieue 13  (0) 2007.12.07
수퍼맨 리턴즈, Superman Returns  (0) 2007.11.16
사생결단  (0) 2007.10.24
흡혈형사 나도열  (0) 2007.08.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