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칼 J. 리차드, Carl J. Richard지음 | 박태선 옮김 | 다산초당 | 2008 12

 

 내가 그리스 로마 역사를 다룬 책을 처음 읽은 건 국민학생 시절이다그 시절 윗집에 있던  플루타크 영웅전’ 시리즈가 있었고 그걸 빌려 읽었다사실 그 당시에는 그리스 로마에 대한 관심 같은 건 없었기에 금세 책 내용은 재미있게 읽었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모조리 잊어버렸다그리고 학부 시절 순전히 유명하다는 사실만으로 읽기 시작해서 악과 깡으로 끝까지 본 에드워드 기번, Edward Gibbon 의 대광서림 판 로마제국 쇠망사가 두 번째였다그 후 다시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를 다시 읽었던 덕분에 사실 로마사에 대해서는 대충 알고 있었다거기에 철학의 탄생 : 현상과 실재인식과 진리인간과 자연에 던지는 첫 질문과 첫 깨달음의 현장 Die Geburt der Philosophie 및 기타 몇몇의 철학 입문서를 통해 그리스 문화에 대한 기초 정도는 있는 상태에서 지금 소개하려는 책 한 권으로 읽는 그리스 로마인 이야기 : 서양문명을 탄생시킨 12명의 영웅들, Twelve Greeks and Roman Who Changed the World’를 읽을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 12명의 위인을 통해 그리스 로마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책이다호메로스탈레스테미스토클레스페리클레스플라톤 그리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이르는 6명의 그리스 위인과 스키피오카이사르키케로아우구스투스바울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에 이르는 6명의 로마 위인이 책 속에서 독자를 기다리고 있다사실 책의 제목은 마치 앞서 소개한 12명의 인물들의 출생에서부터 사망에 이르는 연대기를 압축적으로 보여 줄 것만 같은 느낌이 강했다하지만 실제 책은 인물 중심의 역사로 인해 일관성 없는 서술을 보이는 것 같은 오류를 범하기 보다는 그리스 로마 역사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12명의 이야기를 짚어 준다그래서 개개인의 일대기 보다는 그 인물이 살았던 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함께 활동했던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까지 이야기의 범위를 확장해 그리스 로마 문화와 역사를 압축적으로 독자에게 전달한다.

 
 이 책을 읽어 나가면서 들었던 생각이 하나 있다당연한 이야기지만역사와 문화를 이야기하는데 있어서 사가(史家)에 따라 그 내용에 대한 판단이 달라 질 수 있다는 점이다특히 로마인 이야기에서는 저가인 시오노 나나미가 동양인이 가질 수 있는 로마인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면이 책에서 저자는 미국인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감으로써 같은 사실에 대해서도 시오노 나나미와 다른 판단을 보이고 있는 것들이 종종 있다.

 

 이 책 한 권으로 읽는 그리스 로마인 이야기는 한 권의 책을 통해 그리스 로마 이야기를 압축적으로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지만, ‘로마인 이야기’ 같은 책을 미리 읽어 두지 않았다면압축적인 서술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을 지에 대해 의구심이 들었다.


 Commented by 렛츠리뷰 at 2009/01/23 15:44  
안녕하세요. 렛츠리뷰 담당자 입니다 ^^

렛츠리뷰 35차 리뷰 작성이 27일(다음 주 화요일)에 마감됩니다.
당첨되지 못한 블로거들도 리뷰를 보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잊지 마시고 기한내에 작성 부탁드립니다~
>리뷰 작성 하기 http://valley.egloos.com/review/item_list.php?opt=3
감사합니다 ^^

날씨가 많이 춥네요. 
감기 조심하시고, 즐거운 구정연휴 보내세요~
 Commented by 고무풍선기린 at 2009/01/27 21:00 
행여나 리뷰가 늦어지면 어떻게 할까 걱정했었는데,
다행이 일정에 맞추었습니다.

제 시각을 한층 더 넓힐 수 있는 즐거운 책 읽기였습니다. . ^^

반응형
반응형

데이비드 캘러헌, David Callahan지음 | 강미경 옮김 | 서돌 | 2008 12

 

 보통 미국은 건전한 노력을 통해 부()를 이룰 수 있는 나라로 사람들은 생각한다그런데 지금 이야기하려는 책 치팅컬쳐 : 거짓과 편법을 부추기는 문화, The Cheating Culture’에서 저자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미국의 모습과 지금의 미국 사회의 모습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슬픈 목소리로 이야기한다사회에 호황(好況)과 불황(不況)의 폭이 커지고 승자(勝者)가 모든 것을 다 가져가는 것이 지극히 당연해 지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전에는 볼 수 없었던 거짓과 편법이 횡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람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쫓는 모습을 자주 접하게 되면서속임수를 쓰지 않으면 그것이 오히려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피해의식이 만연하게 된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그로 인해 오히려 속임수를 쓰지 않는 것이 정당한 행동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불이익을 당하는 것으로 인식되고결국에는 속임수를 사용하는 것에서 아무런 거리낌도 갖지 않게 된다고 말한다실제로 수 많은 기업의 회계 부정이나 스포츠 스타들의 불법 약물 사용환자의 목숨을 담보로 한 제약회사의 이익 추구 같은 사회적인 이슈들만이 문제가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음악과 영화 다운을 통해 개개인에게도 속임수와 편법이 남의 이야기가 아님을 알려준다.

 

 
 그런데 나는 효율성과 성과를 중요시 한 나머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커녕이익단체의 로비와 압력을 통해서 그 이익단체에 유리한 법령을 만들고 스스로를 정당화 시키며 자신들만의 이익을 대변하는 모습에서 천민자본주의라는 단어가 떠올랐다물론 책에서는 신자유주의의 폐해(弊害)로 방금 지적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며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민주주의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서로가 신뢰하고 자신의 권리와 책임을 규정하는 사회 계약이 그 역할을 다 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신자유주의의 폐해가 이렇게 명확한데도우리의 일부 지도자들은 아직도 미국화를 곧 세계화로 여기고는 우리 사회에 신자유주의의 색채를 더 칠하려 한다는 사실이 책을 읽어가면서 계속 더 올랐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