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취권 같은 영화로 매년 명절이면 TV를 통해서 볼 수 얼굴 Jackie Chan(성룡). 그러다가 헐리웃으로 가서 러시아워 시리즈나 상하이 눈 같은 어디선가 2% 모자란듯한 것 같은 모습을 보여 주더니, Jackie Chan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그리웠는지 홍콩 시절의 그의 모습을 보여주는 뉴 폴리스 스토리, New Police Story, 新警察故事 로 예전과 같은 모습으로 돌아 왔다.

 이 영화 뉴 폴리스 스토리를 통해 예전 모습으로 돌아왔다고는 하지만 홍콩 시절의 그 모습으로 똑같이 돌아온 건 아니다. Jackie Chan 하면 떠오르는 코믹 쿵후의 모습이 자취를 감췄고, 50이 넘은 나이(1954년 생) 또한 달라진 모습이다. 하지만 아쉬워할 것 만은 없다. 코믹한 요소 대신 익스트림 OPS를 떠올리게 할 만큼의 익스트림 스포츠의 장면과 아직도 여전한 Jackie Chan의 액션이 전무해진 코믹 요소를 충분히 커버하고도 남는다. 거기에 홍콩 시절에 보여줬던 이해하기 쉬운 평이한 내용이면서도 뚜렷한 선과 악의 대립구조 그리고 가족의 화목과 끈끈한 동료애는 깊이가 더해졌다.

 아마도 끝없는 코믹한 스턴트만을 원하는 헐리웃에서의 경험이 예전의 모습을 견지하면서도 한층 더 성숙된 모습을 나타나게끔 하지 않았나 싶다.

 영화는 5인조 은행강도 소탕작전에 나섰다가 되려 놈들의 술수에 빼져 팀원모두 잃어비린 진국영(Jackie Chan)이 깊은 시름과 절망에 빠져 술로 시간을 보내다가 새내기 형사인 정소봉(사정봉)의 계속된 도움으로 자신을 그렇게 만든 그들을 잡으로 나서는 이야기다.



                                       &



첫눈 오는 날 만나자
                                 - 안 도 현
첫눈 오는 날 만나자 
어머니가 싸리 빗자루로 쓸어 놓은 눈길을 걸어 
누구의 발자국 하나 찍히지 않은
 
순백의 골목을 지나
 
새들의 발자국 같은 흰 발자국을 남기며
 
첫눈 오는 날 만나기로 한 사람을 만나러 가자
 

팔짱을 끼고 더러 눈길에 미끄러지기도 하면서
 
가난한 아저씨가 연탄 화덕 앞에 쭈그리고 앉아
 
목 장갑 낀 손으로 구워 놓은 군밤을
 
더러 사먹기도 하면서
 
첫눈 오는 날 만나기로 한 사람을 만나
 
눈물이 나도록 웃으며 눈길을 걸어가자
 

사랑하는 사람들만이 첫눈을 기다린다
 
첫눈을 기다리는 사람들만이
 
첫눈 같은 세상이 오기를 기다린다
 
아직도 첫눈 오는 날 만나자고
 
약속하는 사람들 때문에 첫눈은 내린다
 

세상에 눈이 내린다는 것과
 
눈 내리는 거리를 걸을 수 있다는 것은
 
그 얼마나 큰 축복인가
?

첫눈 오는 날 만나자
 
첫눈 오는 날 만나기로 한 사람을 만나
 
커피를 마시고 눈 내리는 기차역 부근을 서성거리자
반응형
반응형
 몇 해 전 MBC에서 상도라는 제목의 드라마를 방영한 적이 있다. 탤런트 이재룡이 주인공인 임상옥의 역을 맡고서 임상옥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였는데, 그 드라마의 원작이 이 바로 이 책 소설 상도이다.

 소설 상도TV 드라마와는 달리 액자 소설의 형태를 띠고 있다. 작가의 직업을 가진 화자가 국내 한 재벌 회장의 죽음을 접하고는 그의 유품으로 나온 것에서부터 상인 임상옥을 알게 되고 임상옥의 일대기를 찾아가는 이야기다.

 TV 드라마에서건 소설 속에서건 임상옥의 이야기가 그저전 앞선 시대를 살고 간 한 사람의 상인에 불과했다면 두 매체에서 모두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을 것이다. 이 말은 드라마에서도 소설에서도 상도는 성공을 했다는 말인데 여기에는 겉으로 보기에는 임상옥의 일대기를 흥미있게 서술해 놓은 것 같지만 실은 임상옥의 장사 이야기만이 아닌 그 사람의 인생 철학과 고찰이 생하게 나타나 있기 때문일 것이다.

 5권의 분량을 가진 이야기를 한 줄의 글로 집약하는 데는 무리가 따르기 마련이라 전체 이야기는 생략해 두고 책에서 나온 몇 가지만 떠올려 보면, 사람을 죽이는 것 칼이고, 사람을 살리는 것도 칼인데 그 칼을 사람을 죽이는지 살리는지는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는 말을 소설 내용 중에서 석숭 스님이 임상옥에게 말해주는 것과 또한. 財上平如水 人中直似衡' 재물은 평등하기가 물과 같고 람은 바르기가 저울과 같다는 말이 지금 떠오른다.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제일 마지막에 있는 상()을 업()이 아닌 도()로 경지로 끌어올린 임상옥처럼 나 역시 과학(科學)을 科學之道 로 끌어 올릴 수 있어야 함을 알려주는 책이었다.



                                   &



그리움도 화석이 된다
                    
                       - 이 외 수


저녁비가 내리면
시간의 지층이
허물어진다
허물어지는 시간의 지층을
한 겹씩 파내려 가면
먼 중생대 어디쯤
화석으로 남아 있는
내 전생을 만날 수 있을까
그 때도 나는
한 줌의 고사리풀
바람이 불지 않아도
저무는 바다 쪽으로 흔들리면서
눈물보다 투명한 서정시를
꿈꾸고 있었을까
저녁비가 내리면
시간의 지층이
허물어진다
허물어지는 시간의 지층
멀리 있어 그리운 이름일수록
더욱 선명한 화석이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