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남씨 글/그림 | 서사원 | 20218

  놀랍게도 이 책 고양이 단편 만화’’ 작가 남씨는 프롤로그에서부터 시간 때우기가 그림을 그린 이유라 밝힙니다. 그래서 책을 읽는다는 행위는 분명히 목적을 가진 의도적인 행위라 생각하는 제 아재 마인드에 반합니다.

 맞습니다. 시대가 변했습니다. 책이라고 해도 반드시 의미를 가져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심지어 특별한 의미를 내포하지 않다고 해서 좋다고도 나쁘다고도 할 수 없습니다.

  굳이 책을 보면서의 감상을 꼽는다면, 작가는 고양이를 키워 본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 정도 였습니다. 굳이 박스와 서럽장에 들어가고, 높은 곳에 앉아서 CCTV 마냥 처다보고, 토닥거리면 엉덩이를 들고, 컴퓨터를 켜면 자판에 자리를 잡았던, 우리 밍밍이구름이이 모습이 그림 속 고양이과 닮았습니다.

  안으려면 빠져 나가고, 관심을 거두면 달라 붙는 고양이를 생각하며 마음 편하게 볼 수 있는 책 이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영숙 | 스몰빅미디어 | 202111

  갑자기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읽고 싶어 졌습니다. 아마도 근래 일과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왕왕 생기면서, 뭐가 되었건 집중하고 애쓰는 건 일단 하기가 싫어 졌습니다. 이 책 빵으로 읽는 세계사’’를 선택한 건 순전히 가벼운 마음으로 쉽고 편하게 읽어 나갈 수 있을 것 같아서였습니다.

 이 책 빵으로 읽는 세계사를 읽어 가면서의 느낌도 선택할 때의 기대에서 어긋나지 않습니다.책의 저자는 플랫브레드, 사워도우, 피자, 마카롱, 에그타르트, 카스텔라, 판데살, 트르티아, 베이글, 그리고 흑빵까지 10개 종류의 빵과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를 쉽고 가볍게 펼쳐 나갑니다. 각 빵의 어원에서 시작해 처음 등장했을 시기의 문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한 시대배경을 설명하는데, 책을 읽는 다는 느낌 보다는 빵과 관련된 TV 타큐멘터리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은 내용이 개별 빵을 주제로한 단편적인 사실과 그것에 관한 단순한 감상을 나열하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지 못한다는 단점이 되기도 합니다. 세계사라고 칭하기는 했지만, 그 수준은 높지 않습니다. 빵을 연관시켜서 기술하지 않았다면 세계사라 이야기하기에 부끄러울 정도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든 의문이 하나 있습니다. 책에서 저자는 9번째 빵인 베이글을 설명하면서 유대인은 2차세계 대전 독일에서 차별받기 전부터 이미 재정 러시아 시절 이미 차별받아 쫓겨났고, 많은 유대인들이 이 때 미국으로 건너 갔고, 여기서 베이글이 전세계에 퍼지게 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여기서 갑자기 왜 유대인들은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동시대 사람들과 불화를 일으키는 것일까하는 물음이 생겼습니다. 지금까지 책에서는 박해 받은 유대인이 불쌍하고 박해한 사람들이 나쁘다는 논리로 기술 되어있었는데, 왜 그들은 항상 미움을 받고 쫓겨 났으며, 어떻게 그들은 지금도 세계의 경제를 주름잡는 민족이 되이 있을까? 궁금했습니다. 정말 박해한 사람들이 나쁜 사람들이었을까? 아니면 유대인이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미움 받을 행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풀어나가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