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들어 부쩍 창작 뮤지컬이 많이 생겼다. 특히 작은 소극장용 창작 뮤지컬이 새로 제작된 뮤지컬의 주류를 이루는 것 같은데, 뮤지컬 ‘희망세일’ 역시 이런 부류에 넣을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점에 유의해서 우선은 이야기 외적인 부분에 더 집중해 이야기를 풀어 가보고자 한다.

 사실 내가 접해 본 창작 뮤지컬들은 보통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몇몇의 경우를 제외하곤 보통 TV 같은 방송매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인물을 극 중 등장시키거나 그런 사람이 연출을 맡아서 홍보를 통해 은근슬쩍 강조를 하는 게 보통이었다. 그런 덕분에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라면 응당 지녀야 할 기본적인 노래 실력도 갖추지 못한 인물이 등장한 경우를 왕왕 볼 수 있었다. 이런 면에서 뮤지컬 ‘희망세일’은 적어도 눈에 띌 만큼 노래를 못하는 배우는 내 눈에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교적 만족. 그렇지만 음향에는 지금보다 더 관심을 쏟아야 할 듯. 간간히 배우들이 노래하면서 자세와 응시하는 곳을 바꾸어 머리를 돌릴 때 노래 소리가 마이크에 제대로 잡히지 않았다는 사실. 좋은 공연은 세세한 것들이 만족된 상태에서 비로소 된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신경을 반드시 써야할 부분이다.

 극에 쓰인 곡에 대한 느낌을 한 가지 더 덧붙이면, 뮤지컬 ‘희망세일’을 처음 봤음에도 불구하고 부분부분 사용된 곡의 리듬이 내 귀에는 매우 친숙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살펴봤더니 작곡가 송시헌의 참여했다. 그의 작품 중 ‘터널’과 ‘청년 장준하’를 관람했는데, 특히 세종문화회관에서 봤던 ‘청년 장준하’ 때의 음악과 상당히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특히 경찰서 유치장 장면에서 곡은 ‘청년 장준하’ 때 들었던 음악임을 내게 일깨워 주었다. 또한 ‘터널’에서 처음 랩이었는지 힙합이었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뮤지컬에서는 생경한 음악을 처음 사용했었는데, 이번 ‘희망세일’ 역시 한 곡의 랩이 들어가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시끌벅적한 부분에서는 좀 더 랩의 비중을 높였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었다. 또한 트로트 역시 약간 맛뵈기로 보여주나 적절한 장면에서는 그 비중 또한 높여갔으면 하는 바램이었다.

 재래시장의 재개발을 둘러싸고 펼치는 청년 사업가와 상인들의 대립이 ‘희망세일’의 주된 이야기였는데, 우리 현실과는 전혀 생뚱 맡은 소재가 아닌 실제 우리 현실 속의 이야기를 가지고 극화 시켰다는 점에서 좋았으나 아직은 뭔가 조금 아쉬움이 남는 느낌이었다. 관객의 호응을 더 이끌어 낼 수 있게끔 하면 더 낳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남대문 4인방 중 극중 이름이 생각나지 않지만 여성분과 손을 다치셨던 형님, 두 분은 앞으로 더 큰 무대를 통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은 느낌이 문뜩 들었다는 사실.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지..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