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게 지음 | 전경아 옮김 | 인플루엔셜 |  2014 12 15



 

읽기 전


사실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의 제목을 보고서, 저는 책의 내용을 진부한 사랑과 이별 이야기일 것이라 지레짐작하고 쉽사리 책장(冊張) 손이 가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편한 마음으로 쉽게 책장(冊張) 넘길 에세이류의 책을 요량으로 '미움받을 용기' 읽었습니다.

그런데 부분을 조금 읽어가자 책은 편하게 책장(冊張) 넘길 있는 감성적 에세이가 아니란 사실을 금세 알아 차릴 있었습니다. 먼저 서술부터가 독특합니다. 전체가 청년과 철학자 명의 이야기를 주고 받는 문답법(問答法) 형식입니다. 저자는 의도적으로 고대 그리스 시대 소크라테스가 시민들과 문답을 통해 그들 스스로 무지와 편견을 자각하고 진리를 발견한 양식이 독자에게도 그대로 적용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읽은 후


책의 핵심 내용은 매우 간단합니다.

 

철학자는 청년에게 프로이트의 인과론적 사고관을 부정하고 목적론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프로이트의 인과론적 사고 방식에서는, 현재는 바꿀 없는 이미 지나간 과거를 원인으로 하기 때문에 결코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날 없습니다. 또한 과거의 원인을 지금 바꿀 없기 때문에 그로인해 발생하는 현재의 일을 바꿀 없습니다. 하지만, 인간은 변할 있고, 세계는 단순하며, 누구나 행복해질 있다는 아들러의 목적론적 사고관을 따르면, 과거의 슬프거나 즐거웠던 원인과는 별개로 순전히 내가 부여하는 의미와 목적하는 선택에 의해 현재를 만들어 있다고 말합니다.

 

책의 내용은 확실히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변화를 원하면서도 변화를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사람에게 분명 목적론을 근거하여 근원적인 가르침을 줍니다. 하지만 세상사를 풀어가는데 인과론이 문제가 있고, 대안으로 목적론이 효용성을 갖는다고 해서 목적론만이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살아가다가 보면 인과론적 사고를 통해 얻은 결과가 목적론적 사고를 통해 내가 부여하는 의미와 선택에 영향을 미치기도하고, 반대로 목적론적 사고를 통한 의미 부여와 선택이 인과론의 원인이 되어 뛰어난 결과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너무 뻔한 말이지만, 저는 인과론과 목적론을 정확하게 나누어 어느 하나에 편향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되려, 목적론과 인과론 모두에 익숙해져, 상황과 필요에 맞추어 목적론과 인과론을 적절히 선택하여 세상을 바라보고 살아가면 됩니다.

 

그렇지만, 보통 세상 사람들이 인과론에 익숙해져 있는 감안한다면, 목적론적 사고에 대한 고민은 분명히 필요하다고 말할 있습니다. 그리고 방안으로 '미움받은 용기' 차분히 읽어 보는 것은 충분히 가치가 있어 보입니다.



"세계는 단순하고 인생 역시 단순하다." 만약 이 테제(These)에 얼마간의 진리가 포함된다면 그것은 아이에게나 해당되겠지요. 아이에게는 근로나 납세와 같은 눈에 보이는 의무가 없습니다. 부모나 사회의 보호를 받으며 하루하루를 자유롭게, 마음 내키는 대로 살아갑니다. 미래가 끝없이 펼쳐져 있으니 자신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냉혹한 현실은 보이지 않도록 자신의 눈을 가리고 있습니다. 확실히 아이의 눈에 비치는 세계는 단순한 모습을 하고 있는 거죠. 하지만 어른이 되면서 세계는 그 본성을 드러냅니다. '너는 그 정도밖에 안 되는 인간이다.'라는 현실을 매정하게 보여주고, 인생 앞에 기다리고 있던 온갖 가능성이 '불가능성'으로 반전됩니다. 행복한 낭만주의의 계절은 막을 내리고 잔혹한 리얼리즘의 시대가 열리는 것이죠.


정말로 자신 있는 사람은 자랑하지 않아. 열등감이 심하니까 자랑하는 걸세. 자신이 우월하다는 것을 일부러 과시하려고 하네.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주위에 누구 한 사람 '이런 나'를 인정해주지 않을까 봐 겁이 나거든. 이는 완벽한 우월 콤플렉스라네.


열등감 자체를 첨예화시켜 특이한 우월감에 빠지는 패턴이라네. 구체적으로는 '불행 자랑'이라고 하지. 성장 과정에서 자신이 겪은 불행을 마치 뽐내듯 말하는 사람, 타인이 위로하거나 변화를 권하면 "너는 내 심정이 어떤지 몰라" 하면서 도움의 손길을 뿌리치는 사람을 가리킨다네. 이런 사람들은 불행한 것을 '특별' 하다고 여기고, 불행함을 내세워 남보다 위에 서려 하지.자신이 얼마나 불행하고, 얼마나 괴로운지 알림으로써 주변 사람들을 걱정시키고, 그들의 말과 행동을 속박하고 지배하려 들지.


반응형

+ Recent posts